진수환(chin0620@empal.com)

장기적인 전력수급계획은 미래의 경제·산업구조 전망과 인구·주택·가전기기 보급률 등 경제·사회·문화적 변화 요인들을 고려해 전력수요를 예측한 후, 고품질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적정 규모의 전력설비규모를 산정하고 공급신뢰도·경제성·투자재원·입지확보·환경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 분석해 수요관리 및 전력설비 건설 계획을 도출함으로써 완성된다.

전력수급계획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과연 어떤 종류의 발전설비를 중점적으로 개발해야 하는가에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원자력과 화력이 주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수력, 천연가스 등의 연료가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세계기후협약의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해 풍력, 태양광 등의 신재생에너지가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현실이다.

최근 세계적 추세를 보면 고유가 시대와 맞물려 원자력이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한다.

1979년 TMI 사고 이후, 신규 원전 건설을 중단했던 미국이 추가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 프랑스 등 우리나라와 같이 자원이 부족한 선진국에서도 원전건설을 계속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 및 인도 등 화석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신흥국가들도 고유가 부담과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신규 원전 건설에 적극 나서는 추세다.

즉, 세계 여러나라가 원자력 발전이 온실가스 감축에 대비한 유일한 대용량 발전원이며 미래 국가 전력수급과 환경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임을 선포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참여정부 이후 신규원전 건설이 무한정 연기되고 있으며 방폐장의 부지선정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있어서 세계 9위인 우리나라는 향후 온실가스 감축에 있어 산업 및 환경분야에 있어 세계적으로 많은 제재를 받게 될 것이 뻔하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인근의 아시아 강대국들이 원자력 발전을 통해 전력수급과 온실가스 감축의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으려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우리의 실정에 맞는 원자력 사업을 통해 장기 전력수급계획을 세우고 온실가스 감축에도 대비해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