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이 국정공백 최소화를 위해 내주중 후임 총리서리를 임명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세번째 총리서리'에 누가임명될지 주목된다.
 
청와대가 장대환 전 총리서리의 인준 부결 충격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상황에서 후임 총리 문제를 거론하기에는 아직 이른 감도 있지만 국정의 공백을 막기 위해 후임자 임명을 마냥 늦추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박선숙 청와대 대변인도 29일 정례 브리핑에서 후임 총리서리 임명시기에 대해 “아직 뭐라고 답변하기 어렵다”면서 “국정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며 가능한한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 김 대통령이 머지않아 총리서리를 임명할 것임을 시사했다.
 
한나라당 등 정치권 일각에선 경제부총리를 총리권한대행으로 지명하고 총리서리가 아닌 총리후보를 지명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청와대는 법적인 문제 등을 들어 총리서리 이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김 대통령이 장 상 전 서리의 임명동의안 부결후 9일만에 장대환 서리를 임명한 전례로 미뤄볼 때 김 대통령은 내주중 후임 총리서리를 임명해 국회의 동의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장 상, 장대환 서리가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상처만 입은채 임명동의를 받지 못함에 따라 국정수행 능력과 함께, 혹독한 인사청문회 과정을 통과할 수 있는 도덕성을 갖춘 인물을 구하기가 여의치 않다는데 청와대의 고민이 있다.

이와 함께 정치권 일각에서 “청와대가 두번씩이나 흠결이 있는 인사를 총리서리로 지명해 부결을 자초했다”면서 총리 후보자 인선과 사전 검증 시스템에 대한 비판론을 제기하고 있는 점도 청와대로선 부담이다.
 
장 상 전 서리의 경우 임명후 부동산 투기를 위한 위장전입 의혹이 제기됐고 장대환 전 서리의 경우도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부동산 증여세 미납, 부인의 건물임대료 소득 축소 의혹 등이 부각됨으로써 청와대는 “왜 이러한 약점을 사전 검증과정에서 파악하지 못했느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청와대측은 완벽한 검증을 하지 못한 점을 부분적으로 인정하면서도 두 차례의 임명동의안 부결은 기본적으로 대선을 앞둔 정치권의 대립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우리는 현실적으로 주어진 여건속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면서 “두 차례의 임명동의안 부결을 사전 검증 잘못으로 몰아가는 것은 억측”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연방수사국(FBI)이 길게는 6개월 가량 철저한 사전검증을 하는 미국의 제도를 참고로 해야 한다는 점도 지적하고 있지만, 이같은 방안은 우리나라처럼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실현성이 없는 제도라는 지적이 많다.
 
라서 청와대는 시간적 한계와 인사청문회라는 제도적 제약을 감안할 때 이번에는 장 상, 장대환 전 서리처럼 `파격적인 인사'가 아니라 충분한 검증을 거친 `명망가형', `화합형' 인사를 발탁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강문규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장, 김용준 전 헌법재판소장, 한승헌 전 감사원장, 이종남 감사원장 등 저명인사들의 낙점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