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만업계의 숙원인 항만시설 이용료 등 항비가 연내까지 인하된다고 한다. 이는 경인항운노조의 끈질긴 노력으로 결실을 보게 됐다는 것은 알만한 사람은 알고 있는 일이다. 인천항은 120년전 제물포항으로 개항된 이래 오늘에 이르기까지 수도권의 관문 산업항으로서 나름대로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왔다고 본다.
 
그러나 자연항이 아닌 인위적으로 축조된 도크항으로 갑문을 통과해야만 내항으로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발생되는 각종 항비 부담이 부산항보다도 3배나 많고 입거시간 대기와 항로부족 등의 악조건으로 선사와 화주들의 기피로 인천항은 날로 쇠퇴돼 3류항만으로 전락되어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인접한 신항인 평택항은 개항이후 물량확보책으로 해양수산부가 항만시설사용료의 면제 등 특혜를 주게되자 일부 화주들이 항비가 싼 것을 계기로 평택항으로 전이해 인천항은 청정화물 일부를 빼앗긴 꼴이 돼 물동량 감소의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인천항이 이처럼 위기에 놓이게 되자 누구보다도 물동량 유지를 위해서는 항만관련단체나 관련업체들이 앞장서야 한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하지만 대부분의 항만관련업체들은 인천항되살리기를 위한 물량확보에 나서기보다는 앞다퉈 평택항에 하역과 항만용역업 등의 사업면허를 받아 진출하기만 했다. 이같은 요인이 겹쳐 인천항은 더더욱 위기로 몰아간 것을 항만관계자들은 다 알고 있는 일이다. 정말 한심스럽기 짝이 없다.
 
어디 항만인들 뿐인가. 지방자치단체장은 물론, 지역출신 국회의원이나 지방의회의원 등 지도층 인사들도 마찬가지다. 하긴 지역상공인이나 기업주들을 대표하는 상공회의소나 경제단체장 등도 말만은 인천항을 되살려야 지역경제가 활성화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앞장서는 사람이 없는 것이 오늘날 인천항의 현주소다.
 
거듭 강조하지만 본보도 그동안 수차에 걸쳐 배없는 항구엔 하역회사도 용역업체도 근로자들도 있을 수 없다며 항운노조가 최근 앞장선 인천항살리기운동을 지지한 것도 이런 뜻이 담겨있기 때문에서다. 아울러 인천시민 모두는 더 늦기 전에 어머니의 품과 같은 우리의 삶의 터전인 인천항 되살리기에 동참해야만 한다. 아울러 해양수산부 인천항의 항만시설 재조정을 촉구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