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3년 인천의 송도, 영종, 청라 등 3개 지역이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후 인천은 국내는 물론 세계의 주목을 끄는 도시로 부상하고 있다.

6·25전쟁의 가장 큰 피해지역으로 폐허 속에서 굳건히 일어나 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를 눈앞에 두고 있으며 동북아 경제허브로 부상하기 위한 각종 사업들이 가시화되면서 인천은 대한민국의 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민소득 2만 달러를 달성하는 데 선봉에선 대한민국의 성장엔진 인천의 2006년도 비전과 경제자유구역의 역점사업을 살펴보기로 한다. 〈편집자 주〉

 〈동북아 허브 인천〉

인천시는 올해의 시정목표를 '아시안게임 유치의 해'로 설정하고 오는 12월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는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의 개최지 최종 결정에 올인을 한 상태다.

지난해 4월 국내 유치 경쟁에서 광주·전남 컨소시엄을 따돌린 인천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 속에 유치에 나선 인도의 수도 델리와 최종 결정을 남겨두고 있다.

인천시가 오는 2014년 열리는 아시안게임 유치에 주력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아시안게임은 단순한 스포츠 행사가 아니라 경제, 외교적인 실익을 얻을 수 있는 데다 지역문화를 활성화 할 절호의 기회로 삼을 수 있는 아시안의 축제의 장이다.

더구나 아시안게임을 유치할 경우 도로와 같은 기반시설에 필요한 재원 50%와 체육시설 30%에 대한 국고를 지원받을 수 있어 인천시가 동북아 경제허브로 추진하고 있는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과 함께 구도심 개발에 박차를 가할 수 있어 꿩먹고 알먹게 되는 셈이다.

실제 아시안게임 유치 타당성 검토 결과를 보더라도 대회에 들어가는 직·간접 투자비만 최소 4조9천억 원의 재원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6조38억 원으로 이 가운데 5조2천억 원이 개최지 인천에서 발생할 것이라는 예측이다.

경제적 효과뿐 아니라 아시안은 물론 세계인이 주목하게 될 아시안게임 유치와 성공적 개최는 경제자유구역 성공을 더욱 앞당기고 인천시가 계획하고 있는 남북 공동개최가 성사된다면 인천은 통일을 앞당기는 평화의 도시로서도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오는 12월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는 개최지 최종결정에 동북아 허브를 지향하는 인천의 사활을 거는 다양한 유치전과 인천시민의 역량 결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시는 상반기에 OCA 회원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눠 차별화 된 유치활동을 펼쳐나가고 권역별 주요인사 초청을 통해 경기장 시설 및 예정부지 견학, 인천시의 유치 능력 등을 알리는 한편 범시민적 유치분위기 조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진행하기로 했다.

지난해 12월 20일 공식출범한 '2014년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유치위원회' 신용석 위원장은 “인도라는 막강한 상대가 있지만 그 동안 각종 체육대회에서 보여준 인천과 한국의 저력은 이미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만큼 획기적 비전만 보여준다면 승산은 충분하다”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아시안게임 유치와 함께 인천시가 올해 주력하는 사업은 역시 구도심 개발을 통한 경제자유구역 개발지구와의 균형발전을 이뤄내는 것이다.

인천이 동북아 허브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경제자유구역 개발과 함께 구도심 연계 개발을 통한 균형발전을 이루지 않고서는 국제경쟁력을 갖추기가 어렵다는 한계에서 구도심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 무엇보다 필요한 시기다.

지난해 시는 '인천투자의 해'로 설정하고 투자사업을 대대적으로 발굴하고 강력한 지역경제 활성화 드라이브를 펼쳐왔다.

올해에도 시는 주요 시책의 중심을 도시균형발전사업에 방향을 잡고 기존도심의 핵심사업인 가정오거리 도시재생사업 등 주요사업을 본격화하고 국제물류도시를 지향하는 네트워크 도로망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나가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경인고속도로 직선화사업 청라지구의 조기 시설공사 착수와 동서로 단절된 지역간의 균형발전 추진, 숭의운동장 및 제물포역세권, 동인천역 주변 도시재생 사업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시는 지난해 인천발전연구원이 지역균형발전전략 기본구상으로 제시한 1거점 2축의 24개 도시재생사업이 구도심 전반에 대한 기본구상안이 아닌 데다 현황 열거 형식으로 효용성이 저하됨에 따라 가칭 '도시재생기본계획'을 재수립하기로 했다.

도시재생기본계획은 통일을 대비한 한국의 미래상과 이에 대한 인천시의 위상과 역할을 정립하고 경제자유구역으로 개발되는 신도심과 차별화 된 구도심의 기능설정 및 역할분담을 설정하게 된다.

시는 관련법 및 관련규정 검토를 거쳐 용역비를 추경에 반영한 후 10월중 용역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