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해외 유학·연수생 수가 총 36만여명으로 연간 기준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있다. 해외 유학이나 연수생의 급증 현상은 우리나라 교육제도의 후진성과 비합리적인 사회제도를 그대로 반증하고 있는 것이어서 이로 인한 외화 낭비의 측면보다는 비합리적인 교육제도와 지나친 학벌주의 등 우리 사회의 구조적 병폐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순수한 의미의 해외유학은 원칙적으로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국내 대학에 입학이 어려워 가는 도피성 유학이나 일시적 유행을 좇아 특정 언어를 익힌다는 명목아래 떠나는 유람성 어학연수 등은 좋게 평가할 수 없다. 더욱이 국내 교육사정에 염증을 느끼고 자신의 자녀는 어느 나라든 간에 내보내겠다고 생각하는 부모가 한 둘이 아니라면 국가적인 차원에서 해결방안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순수한 의미의 해외유학은 젊은이들이 각 분야에서 학문적 성취를 이룰 수 있을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해외진출 확대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장려할 만한 일이다. 우리 국민의 높은 교육열이 우리 국가 발전에 원동력이 된 점을 감안한다면 더더욱 해외유학은 권장할 만한 일이다.

이제부터는 비합리적인 교육제도를 개선하고 우리의 교육경쟁력을 높이는 일에 온 국민이 중지를 모아야 한다. 어쩌면 또 그 소리냐 하겠지만 우리교육은 지속적인 학습과 노력을 기울여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장기적인 경쟁체제 확립으로의 방향전환이 이뤄져야 한다. 좋은 졸업장 하나가 평생을 보장해 주는 지금의 사회구조 아래서는 근본적인 개선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아무리 대학입시제도를 보완해도 일류대학 입학이 지상과제일 때 고액과외나 그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 도피성 해외유학 등의 부작용이 근절되기는 어렵다. 또 어렵게 대학에 들어간 젊은이들은 입학만 하면 웬만해선 퇴출시키지 않는 대학의 풍토아래 일찌감치 학습을 마감해 버리고 있다. 우리사회가 학벌주의, 연고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졸업장 하나로 통하는 관행이 사라지지 않는 한 사교육 의존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며, 도피성 해외유학은 계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처럼 잘못된 우리교육의 관행은 결국 국가경쟁력의 상실로 이어질 것이며 모든 분야에 심각한 위기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정치발전이나 경제성장보다도 더 시급히 서둘러야 할 일이 교육경쟁력을 높이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