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목재관련 중소기업들이 서구 백석동 일대에 5만2천평 규모의 목재단지를 조성하는 문제를 놓고 요즘 시중에 말들이 많다. 보도에 따르면 인천지역 목재관련 업체들은 목재단지 조성을 위해 5만2천평의 부지를 사들인 후 진입로 개설을 위해 현재 시 소유의 40평을 매각할 것을 시에 수차례 요청했으나 2년이 다되도록 해결의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전후 사정이야 어떻든 40평의 땅 문제로 2년이란 세월을 허송했다는 것은 인천시와 업체 모두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목재관련 업계는 목재단지 조성예정지 진입로에 위치한 고작 40여평을 매입한 후 기부채납할 것을 전제로 건축허가와 토지형질변경 허가를 받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당국의 입장은 이들 목재업계가 과연 이 땅을 순수하게 목재를 쌓을 수 있는 야적장이나 창고로 활용하느냐 믿지 못하는 것 같다. 땅 투기를 목적으로 목재단지를 조성하겠다면 그것은 큰 잘못이다. 가뜩이나 시내 일부지역이 난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시점에서 광활한 자연녹지가 또 다시 난개발로 물의를 빚는다면 보통 문제가 아닐 수 없기 때문이다.

인천시의 입장도 이해가 간다. 업계의 주장대로 40평에 대한 진입로 허가를 내줄 경우 나타나는 문제가 감사에서 지적되는 것도 피할수 없겠지만 땅 투기로 변질될 수 있는 공산이 크다는 점도 간과될수 없는 상황이다. 2000년 이후 현재까지 공사 착공조차 못해 막대한 자금이 묶이는 바람에 50여개 중소업체들이 도산위기에 처하게 됐다는 업계의 딱한 사정도 외면할 수 없는 일이지만 그렇다고 무턱대고 사정대로 허가를 내줄 수는 없는 일이다.

어쨌든 인천시는 업계의 사정을 면밀히 분석해 업체들이 조그마한 불이익을 받는다는 오해를 불식시키는 일이 급선무인 것 같다. 업체들도 시가 납득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 양자가 서로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길 바란다. 매각근거가 없는 땅을 어떻게 팔라고 맞서는 것보다 양자가 피해를 보지 않는 현명한 판단이 요구된다 하겠다. 시당국은 업체들이 땅 투기와 난개발을 가중시키는 식의 무슨 꿍꿍이속이 있어 목재단지를 조성하겠다는 발상의 색안경을 벗어 던지고 진지하게 대화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이같은 방안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