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만의 바닷모래가 사라지고 있다. 끝없이 퍼가는 이 모래에 실려 어족자원과 아름다운 백사장들도 함께 사라지자 해양생태계 파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매년 건설용 자재로 전국 수요량의 50%가 넘는 바닷모래가 경기만 옹진해역에서 파헤쳐지자 환경단체와 어자원을 생계로 하는 옹진어민 등이 생태계 파괴를 우려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고 한다. 그러나 건교부는 올해 건설용 골재수급책으로 옹진해역의 바닷모래 채취량을 지난해 2천만㎥보다 25% 가량 늘어난 2천500만㎥를 배정했다고 하니 생태계 보전은 완전히 뒷전으로 밀린 느낌이다. 그러나 채취 허가권자인 옹진군 등은 바다 생태계 파괴를 이유로 올해 건교부로부터 배정받은 물량보다 500만㎥를 낮춘 2천만㎥로 채취 예정량을 계획하고 있지만 건설경기가 활발해질 경우 채취량 증가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80년대 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옹진해역의 바닷모래 채취는 84년 한 해 동안 220만㎥에 달하던 것이 매년 늘어나면서 96년에는 무려 8배가 넘는 1천710만㎥를, 2000년에는 1천724만㎥, 2001년에는 1천695만㎥로 늘어났고 지난해와 올해에는 2천만●를 육박하는 채취량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많은 모래가 빠져 나가면서 바다의 생태계가 크게 훼손되는 것은 물론, 경기만을 산란장으로 하던 조기와 민어 등이 자취를 감춘 것은 이미 오래된 얘기고 꽃게나 피조개, 전복 등도 머지 않아 같은 처지가 될 형편이다. 국립수산진흥원 서해수산연구소의 최근 조사에서도 모래 광구 주변 바다에는 모래를 퍼올릴 때 생긴 갯벌층 등 부유물질이 많아져 생물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처럼 생태계 파괴가 삼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지만 모래 채취는 환경영향평가 대상에도 들지 않아 무분별한 채취를 막기에 어려운 형편이다. 옹진군이 경기만의 환경파괴를 무릅쓰면서 바닷모래 채취 허가를 내주는 것은 수입이 워낙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골재수급 문제가 아무리 심각하다 해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더 이상의 무분별한 해사 채취와 환경파괴는 막아야 한다. 바닷모래 채취를 완전히 중지할 수는 없다 해도 광구별 휴식년제 도입이나 쿼터제 등을 통해 해양자원을 관리하는 지혜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