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 참사를 계기로 긴급안전점검에 나선 인천지하철 시설도 언제고 터질수 있는 사고의 가능성을 않고 왔다는 사실은 이미 `역시나'로 밝혀진바 있다. 그런데 더욱 한심스러운 사실은 문자 그대로 전기에 의한 대중교통수단임에도 인천지하철 1호선이 지난 99년 10월 처녀 개통된 이후 지금까지 전기정밀안전진단을 단 한번도 받지 않았다는 보도다. 안전불감증을 확연히 드러낸 해이된 시스템에 우리는 심히 유감을 금치 못한다. 지하철 전동차가 작동되고 움직이는 에너지로서의 심장기능이 전기임에도 안전진단을 외면해온 것은 한심하다 못해 좌절감을 느낀다.
 
특히 지하철공사측은 전기안전진단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2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나 계속되는 적자만을 이유로 아예 예산을 확보하지 못한 채 이를 방치해온 자세야 말로 안전은 뒷전이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흑자나 내려한 눈치보기식 운영이었다는 지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전기안전공사 인천지역본부가 밝힌바로는 전기재해 예방을 위해 수용가의 요청으로 전기설비의 유지·운용상태와 전기설비의 설치·변경 또는 개·보수 공사 후 적정 시공여부를 기술력과 첨단 계측 장비를 활용해 점검을 실시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인천지하철은 개통 3년4개월 동안 단 한번도 정밀진단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오죽하면 전기안전공사측 관계자가 이번 대구사고 후 인천시장을 찾아가 지하철 1호선의 전기안전 정밀진단을 실시해야 할 것이라고 권유하자 그제서야 지하철공사 관계자로부터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사실을 확인하고 우려를 표시했다고 하니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식의 뒷북행정에 시민의 불안을 어디까지 몰고 갈 것인지 끝이 보이지 않는 판국이다.
 
전기정밀안전진단은 공공기관은 물론 일반 수용가의 요청에 의해 실시되는 것으로 법적 강제규정은 없다. 그러나 자신이 쓰고 있는 전기설비의 안전은 어떤지 정기적인 정밀점검이 필요한 것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고 하겠다. 이번 대구지하철 참사에서도 더 큰 화를 부른것은 전기요인이었다는데서 정밀진단은 필수적 사항임이 강조되고 있다. 그런데 인천지하철은 2년 주기로 사용중인 전기설비의 유지운용상태가 기술수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가리는 정기검사 마저도 제대로 하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는 안전공사 관계자가 밝힌 바로는 이 마저도 우물적 덮어져 온 것이 뻔하다. 우린 몇 차례 사설을 통해 안전시스템의 문제점을 강조한 바 있다. 더욱이 다중시설물의 중요성을 직시, 공직자의 안전의식개혁을 촉구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