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7일 노무현 대통령은 19개 부처 장관(급) 명단을 발표했으나 이날 내각명단에 교육부총리가 제외되고 내주 초로 발표가 미뤄짐에 따라 인선을 놓고 교육계를 포함한 온 국민의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노 대통령은 그간 검토됐던 유력 후보들을 완전 배제하고 백지 상태에서 새인물을 발탁하겠다고 한다. 따라서 하마평에 오르내리던 장관출신 인사나 지방의 모 중학교 교장 등도 낙마한 것이 확실한 상황에서 과연 어떤 인사가 발탁될 것인지 자못 궁금증을 자아내게 하고 있다.
 
이번 참여정부 내각의 구성원을 보면 안정과 개혁이라는 두 마리 토끼 모두를 겨냥한 듯하나 특히 교육분야 만큼은 안정속에서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본다. 잘못된 교육의 폐해를 생각한다면 교육은 어떤 경우에도 실험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된다. 지난 5년간의 김대중 정부는 교육개혁이라는 커다란 명제에 밀려 좌충우돌식의 시행착오를 거듭하면서 우리 교육을 10년 넘게 후퇴시켰다는 것이 교육계의 주장이다. 교육개혁에 착수하면서 개혁의 주체가 될 교사를 개혁의 대상으로 몰아세우면서 교단이 황폐해졌고, 입시지옥에서 벗어나 누구나 대학에 진학할 수 있다는 약속은 오히려 과외열을 부추겨 사교육비의 증가를 초래했다. 또 학급당 학생수를 감축해 선진국 수준으로 교육환경을 개선하겠다는 약속도 현실을 무시한 졸속 추진으로 일선학교들을 혼란에 빠뜨린 채 지지부진한 상태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도 교육현장에 끊임없이 잡음이 일고 있는 실정이다. 오늘날 우리 교육이 교실붕괴로까지 일컬어질만큼 황폐해진 데는 교육개혁의 의지가 약해서라기보다는 방법론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놓쳐서는 안된다.
 
국민 모두는 우리 교육의 발전에 꼭 필요한 인물이 교육부총리에 발탁되길 기대하고 있다. 우리 교육의 현실을 냉정하게 직시하고 황폐해진 교육계를 추스를 참교육자가 낙점되길 바라고 있다. 노 대통령이 적임자를 찾지 못해 일괄 발표에서 제외시킨만큼 새 장관은 철저한 검증을 거쳐 인선되어야 할 것이라는 게 교육계의 바람이기도 하다. 새롭게 출범하는 내각이 갖는 큰 의미가 교육부총리 인선과 관련해 퇴색되는 일이 있어서도 안될 뿐 아니라, 교육은 백년지대계임을 감안해 책임행정을 펴나갈 수 있는 인물이 발탁되길 새삼 기대해 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