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희정 수원시의원

 수도권 일대는 만성적인 교통 정체와 심각한 주차난에 시달리고 있다. 
심각한 주차난을 해소하기 위해서 그린파킹사업이나 대형건축물 주차장 개방 등의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지만 아직 가시적인 성과들은 축적되지 못하고 있다.

교통문제에 있어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지 않는다면 만성적인 교통난은 해결되지 못할 것이다.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대안은 자전거가 아닐까 싶다.

자전거는 대표적인 친환경 교통수단인 데다 건강에도 좋고, 교통난 해소에도 탁월하기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자전거 관련 정책을 강력하게 실시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일본의 경우 자전거와 철도를 최대한 연계해 자전거·철도 간 환승이 보장된 관계로 많은 자전거 이용실적을 보이고 있다.

네덜란드의 경우 발달된 자전거 관련 인프라와 국민들의 의식으로 인해 자전거의 수송분담률이 약 33%에 달하고 있어 자전거 선진국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이런 선진국의 자전거 관련 사례를 보면 자전거 이용 강화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분명하게 알 수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 여건상 그것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 인프라 부족이 그 중 큰 요인을 차지하고 있다.
자전거 도로가 부족한 것은 물론이고, 자전거 보관소나 대여소의 운영이 충분치 못해 시민들에게 자전거 이용 동기를 확실하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자전거 보관소의 부실운영은 심각한 수준이다.  
자전거를 보관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전거 보관소가 막상 자전거 보관의 제 기능을 못하고 있어 자전거를 이용하려는 몇몇 시민들의 의지를 꺾어버리고 있기 때문이다.
자전거 보관소에서 자전거를 도난당하는 일은 심심치 않게 일어나는 일이다.

심지어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한 시민은 자전거 보관소를 가리켜 ‘자전거 도난대’라고 부르고 있으니 자전거 보관소에 관한 시민들의 불신을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다.

문제는 그것뿐만이 아니다. 자전거 보관소에서는 폐자전거가 방치됨으로써 미관도 해칠 뿐더러, 다른 이용자들이 보관소를 이용할 공간을 빼앗기 때문에 보관소 관리에 일대 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도난사고를 줄이기 위해 현재 무료로 운영되는 자전거 보관소에 대해 유인화 및 유료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유료화의 사례는 선진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는 하루 1유로, 즉 우리 돈 1천200원 정도의 이용료를 받고 운영되는 자전거 보관소가 운영 중이며, 이웃 일본 역시 대형 유료 보관소를 운영함으로써 자전거 이용을 촉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런 점에서부터 자전거 선진국의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유료화를 하게 되면, 우선 이 수입을 통해 자전거 보관소에 관리인력을 둘 수 있어 시민들이 안심하고 보관소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시민들의 경우 이용료를 직접 내고 사용하기 때문에 자신이 보관시킨 자전거에 대한 책임의식을 자연스레 갖게 될 것인데, 이를 통해 폐자전거가 보관소에 방치되는 일은 점점 줄어들 것이다.
다만 유료화에 있어 금액은 최대한 저렴하게 해야 할 것이다. 보관소 자체가 영리를 위한다기보다는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다양한 자전거 이용 활성화 대책이 마련돼 더욱 많은 시민들이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