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정부의 신항만건설촉진법 제정 이후 부산, 광양과 함께 3대 국책항만으로 지정된 평택항. 그러나 양항정책(부산·광양 투포트 정책)에 따른 차별 지원과 우선순위에 밀리는 등 계륵으로 전락한 평택항이 ‘황해경제자유구역’ 지정과 ‘평택한중테크밸리’의 출범으로 환황해권 중추항으로 관심과 기대를 모으고 있다.

 # 정부의 평택항 홀대

노무현 정부의 출범과 함께 시작된 투포트시스템(부산·광양항 중점개발)은 부산과 광양을 물류혁신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으로 물류인프라, 재정투자, 기술투자를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따라서 광양항은 2011년까지 컨테이너부두 33선석과 일반부두 82선석을 갖추고 연간 컨테이너 933만TEU, 일반화물 1억8천만잪을 처리한다는 목표로 추진돼 왔다.

   
 

이를 위해 총 5조7천445억 원이 투입될 계획이며, 특히 해양수산부(현 국토해양부)가 광양·부산항의 해상물류를 연계하기 위한 서남부지역의(무안) 국제공항 신설에 발벗고 나서 광양항을 자동화항구(U포트)로 혁신작업 대상으로 선정하는 등 지속적 혜택을 누리고 있다.
또한 1974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부산항은 1995년부터 오는 2011년까지 9조1천542억 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국제종합 물류단지로 개발하기 위한 항만 배후부지는 총 122만3천146㎡(37만 평)으로 2009년까지 본격 개발에 착수하는 등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차별정책에도 불구하고 평택항의 2006년 처리물동량은 전국 28개 무역항 가운데 자동차 2위(75만 대), 컨테이너 5위(23만1천15TEU)를 기록해 부산, 울산, 인천항에 이어 4위를 차지하는 등 눈부신 성과를 올렸다.
그러나 2006년 정부재정은 평택항 사업비 869억 원으로 부산신항 4천663억 원과 광양항 2천735억 원에 비해 18.6%와 32.2%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3대 국책항만으로 지정은 됐지만 정부의 투자와 지원에서 배제되거나 축소되는 등 열악한 조건을 감안할 때 상당한 성과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또한 최근 4~5년 동안 일반부두의 물동량 증가율이 전국 평균 2배를 웃돌고 있으며, 정부가 조사한 ‘2020 항만물동량 예측’에서도 최대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평택항이 환황해권 전략항으로서 잠재 가능성에도 이어진 정부의 홀대 속에서 황해경제자유구역 지정과 한중테크밸리 출범으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외국기업들과 자본들의 관심이 모아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특히 중국 시장을 겨냥한 일본 및 서구 기업들과 자본들의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조건이란 평이다.

  # 갈길 먼 평택항

평택항은 당초 인천항 화물의 50%를 차지하는 목재, 양곡, 철강 등을 처리하기 위해 개발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IMF 경제위기 등 급격한 국내 경제상황의 변화로 인해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특히 평택항 개발사업의 대부분이 민자사업으로 계획돼 경제상황의 불안정은 기업의 투자기피 현상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개발사업이 지연을 거듭해오면서 평택항 2단계 개발사업이 착수된 지난 2002년 시설확보율이 45.5%, 2003년 47%, 2004년 52.4% 등 절반의 수준에 그치고 있어 화주들의 외면을 불러왔다.

더구나 기업의 투자활성화에 견인차적 역할을 기대했던 정부의 재정투자조차 미흡해 대중국 컨테이너 화물처리, 배후 산업단지 활성화에 차질을 빚게 됐다.
지난 2000년부터 오는 2011년까지 정부재정 투자계획 대비 투자실적은 2006년 기준으로 광양항 83.5%, 부산신항 45.8%에 비해 평택항은 15.6%에 그치고 있다.
특히 평택항 개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민자유치는 평택항 개발에 대한 정부의 의지와 재정투자가 선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평택항발전협의회(회장 유천형)에 따르면 정부는 국책항만으로 평택항을 지정해 놓고도 계륵으로 취급하고 있다며 2006년 투입된 정부재정만 보더라도 평택항 사업비 869억 원으로 부산신항 4천663억 원과 광양항 2천735억 원에 비해 18.6%와 32.2%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평택항의 물동량의 급증과 선석수요의 증가를 고려해 볼 때 정부의 투포트정책은 실패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국책항만으로서의 평택항에 대한 정부의 의지와 경기도 및 평택시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 신성장동력 필요-한중테크밸리와 마린센터

평택항이 환황해권 중추항이 되기 위한 최우선 중점 사업은 배후단지 개발을 꼽을 수 있다. 특히 대중국을 겨냥한 항만 개발의 필수조건은 중국 및 외국기업들이 입주할 수 있는 산업단지와 물류단지 등 대단위의 배후부지가 필요하다.
선발주자인 인천항과 부산항이 배후부지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면 평택항은 충분한 배후부지를 확보해 신성장동력 에너지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그 일환으로 추진된 한중테크밸리 조성사업이 지난 4월 14일 평택도시공사와 중국 대련화흥기업집단유한공사, 한국산업은행, 신한은행, 대우건설, SK건설, 두산건설 등 한국과 중국 9개 민간사업자가 참여하는 한중테크밸리 설립 주주협약식을 갖고 공식 출범했다.
한중테크밸리는 평택항 인근인 포승 일대에 2008년부터 2012년까지 1.3㎢의 규모로 5년간 진행할 계획으로, 총 사업비 6천676억 원 중에서 중국의 대련화흥기업집단이 51%를 투자하고 평택도시공사와 국내 건설사, 금융회사 등 국내 9개 참여사가 나머지를 투자한다.

최대주주인 평택화흥주식회사 정연철 본부장은 “한중테크밸리는 미래성장 유망 산업 관련 첨단산업단지와 컨벤션센터를 조성하고 한국의 정부투자기관은 물론, 중국의 시정부 및 국가기관 등이 입주하는 그랑아치가 건립돼 한중 산업과 무역의 중심지로서 평택항의 랜드마크 기능을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본부장은 또 “생산유발효과가 1조1천억 원으로 예상되며, 고용유발효과는 1만1천 명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지난 2007년 10월 경기평택항만공사는 항만지원시설인 마린센터 건축허가를 받아 착공했다. 지하 1층·지상 15층(대지면적 2만7천246㎡, 연면적 1만5천276㎡) 규모로 항만 주변에 흩어져 있는 CIQ기관, 해운·물류업체들이 입주해 업무의 효율성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한중테크밸리의 개발효과와 더불어 평택항 발전의 신성장동력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또 하나의 가능성-황해경제자유구역

   
 

지난 5월 경기 평택·화성과 충남 당진·아산·서산 등 5개 지구 5천501만㎡에 걸쳐 공식 지정된 황해경제자유구역이 지난 7월 22일 개청했다. 평택항 인접 포승지구(2천14만8천㎡)가 포함돼 평택항 발전의 수혜요소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1차 개발지역으로 꼽힌 포승지구에는 첨단산업과 국제물류 및 국제비즈니스, 관광과 위락기능 중심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따라서 앞서 추진되고 있는 한중테크밸리와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통한 대중국 전략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이같이 공격적 사업을 추진해온 송명호 평택시장은 “평택항이 정부와 민간투자의 외면과 홀대에도 불구하고 환황해권 중추항으로서의 발전가능성은 충분하다”며 “평택시는 중국의 신흥 성장도시인 다롄(大連), 칭다오(靑島,) 상하이(上海) 그리고 선전(深玔), 홍콩에 이르는 경제축과 최단 거리에 마주해 환황해경제권역의 중심도시로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