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가 제47회 신문의 날이었다. 신문의 사명과 책임을 다하기 위해 1957년에 제정됐다고 한다. 이날을 신문의 날로 정한 것은 1896년 4월7일에 독립신문이 창간된 날이었기 때문에서다. 우리의 신문은 개화기 민족사적 비운을 안고 창간된 당시의 독립신문 정신을 이어받아 격동과 변혁의 현대사의 고난을 헤쳐온지 이제 한세기가 지났다.

더구나 신문의 사회적인 책임은 언론의 자유와 함께 항상 강조되는 규범이다. 그 이유는 언론이 사회의 공기로서 공적과업을 수행해야 하며 동시에 언론의 자유를 오·남용해서는 안되기 때문인 것 같다. 21세기 첨단문명은 인간생활에 엄청난 편리함을 가져다주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리의 신문은 아직도 사회적인 기능인 정의사회 구현의 길잡이로서 역할이 미흡하고 독자들도 신문에 대한 신뢰가 적은것만 같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매일 신문을 보고 있다. 그것도 여러 종류의 신문을 구독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도 일부 사람들은 사회적 추세를 역행하고 있다는 평도 하고 있다. 하지만 매일 아침마다 여러개의 신문을 보는 사람들은 엄청난 양에 질리면서도 읽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각 신문의 경쟁적 증면과 섹션화 때문에 일부 독자들은 신문을 펴들면 서너개 덩어리로 분리되며 대충 제목만 보려해도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짜증스러운 불평도 하고 있다.

아무튼 우리의 신문 1세기를 되돌아보면 영광보다는 좌절과 수난의 암흑기가 더욱 많았다. 독립신문이 창간될 당시는 개화기로 민족계몽지였고 일제강점기는 구국언론이었고 광복직후엔 좌우이데올로기 투쟁의 이념지였다. 그리고 자유당정권과 군사정권때에는 독재저항지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런 험난한 과정을 치른 신문의 희생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더욱이 지역에서 발생되는 지방신문은 이런 민족의 애환을 함께 하면서도 더 수난을 겪어야 했다. 하긴 4·19이후 일시적으로 지방신문과 지역소신문이 등장했으나 5·16으로 소멸됐다. 특히 군사정권하에서 지방신문은 1도(道)1사(社)의 원칙 아래 전국지 위주의 언론정책으로 중앙과 지방간의 사회·문화적 격차는 더욱 심화되기도 했다. 게다가 지역언론의 창달을 근본적으로 막는 하나의 폭거나 다름없었다. 다행히 6공이후 언론의 자유가 현저하게 신장됐지만 오늘날 신문은 언론개혁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어쨌든 47회 신문의 날을 보내면서 언론의 사명을 다할 것을 거듭 다짐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