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가 기획한 `장애인의 날' 기획시리즈 1편 `이동권 보장이 급선무' 제하 내용 중 장애인들이 뙤약볕 광장에서 피킷을 들고 이동권 보장을 처절하게 외치며 100만인 서명운동을 전개했다는 보도는 그동안 우리 사회가 이들에 대한 대책이 얼마나 소홀했는가를 보여주는 단면이다. 이처럼 지체장애인들이 이동권 확보를 위해 목청을 높이는 이유는 정상인들을 위한 복지정책에만 비중을 두었을뿐 이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대책이 미흡했던 결과 외출조차 할 수 없는 현실을 맞고 있다는데 우리는 당국의 대안을 촉구한다.
 
보도에 따르면 매일 외출할 수 있는 장애인은 전체의 59.6%에 불과하며 외출을 하더라도 65%는 불편함을 겪고 있는 데다 이중 52%가 대중교통수단에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는 장애인실태조사의 수치에서도 후진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실제로 인천지하철의 경우 22개 역사 109개소의 출·입구에 겨우 72대(66%)의 휠체어리프트가 설치돼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지난해 10월 승강기제조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으로 장애인이 이용하고 있는 전동스쿠터와 전동휠체어는 휠체어리프트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니 대안없이 제정된 법률이 장애인 대책을 오히려 후퇴시키고 있어 한심하다. 결국 궁여지책으로 이용하고 있는 승강기마저도 10개 역사에 35대만 설치돼 있는데다 지하철 입구까지 운행하는 승강기는 7개 역사 7대에 불과한 것은 아예 장애인 복지대책을 외면하고 있는 꼴이라 하겠다.
 
버스도 상황은 마찬가지라고 한다. 인천시내에 고작 3개 권역 5개노선에 대형 5대, 10인승 콜밴 1대가 운행되고 있지만 이용장애인은 대다수가 정기적인 치료를 받기위해 병원에 가는 경우이고 운행 간격도 2시간이 넘어 결국 시장보기, 은행방문 등 일상생활에서의 불편을 해소하는데는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장애인용으로 도입한 초저상버스도 인천지역 도로사정이 나빠 바닥이 긁히거나 전장이 길어 회전이 어려워 유명무실하다고 한다. 더욱 심각한 상황은 인천시내 택시 1만9천700여대 중 장애인이 승차할 수 있는 대형택시는 고작 3대에 불과한 데다 밴형화물차(495대)도 장애인의 승차를 꺼리고 있다고 하니 인천의 장애인 이동 편익시설은 최하위로 머물고 있어 부끄럽다. 해마다 장애인의 날을 맞아 기념식 정도로 끝내는 반짝행사보다 중요한 것은 장애를 대신해 줄 수 있는 시설과 고용이다. 진정으로 장애인의 고통을 함께하는 복지정책을 당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