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윤배 광명시의회 자치행정위원장

 시민들이 은행과 더불어 가장 많이 찾는 곳이 동 주민센터라고 한다.

이러한 주민참여를 통한 주민자치 실현을 위해 동 주민센터가 설치·운영된 지 1년이 지났다.

동 주민센터 모태인 동사무소의 잉태는 일제시대 일본인들이 주민을 쉽게 통치하기 위해 동회(洞會)로 설치했다가 우리나라에서는 1955년부터 동사무소 명칭이 최초로 사용되면서 지방행정의 최말단 행정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그 동안 동사무소는 중앙정부의 시책을 최종적으로 실천하고 종합행정을 수행하며 주민과 가장 친근하게 호흡하면서 민심을 시책에 반영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그런데 동사무소가 ‘주민센터’로 기능이 전환된 배경은 무엇일까?
이는 동사무소의 기능을 주민들의 복지, 문화, 고용, 생활체육 등 주민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민 중심의 통합서비스 기관으로 전환하기 위함이다.

현재 최말단 행정기관인 동 주민센터의 경우 직원들이 현장민원을 해결하느라 쩔쩔매고 있다.

2000년대 들어 대부분의 동 주민센터가 그렇듯 남자직원보다 여자직원이 많은 여초(女超)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현장에서 뛸 남자직원이 부족한 게 작금의 동 주민센터 실정이다.

실제로 ‘집앞 쓰레기가 쌓여 악취가 심하니 빨리 치워 달라’는 현장확인이 필요한 전화가 걸려오면 여직원들 사이에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당황하기 일쑤다.
광명시 A동 주민센터 동장은 “남자직원 2~3명이 근무하는 상태에서 동장이 동장실만 지키는 건 옛말”이라며 “남자직원이 출장할 경우 현장 확인민원이 접수됐었을 때 직접 현장에 나가야 된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다. 수해 등 재난발생 시 남자직원이 담당해 온 업무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뚜렷한 대책도 없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동 주민센터 인력이 3~4명 줄었으나 업무는 기능전환 이전과 별다른 차이가 없어 동 주민센터에 근무하는 직원은 고달프기만 하다.   
최근 경기불황으로 인한 실업자 증가로 일부 카드회사들이 채무자에게 연락이 안 된다는 이유로 주민등록 직권말소나 시실조사를 의뢰하는 건수가 많아 직원들이 밤 늦게까지 사실조사를 해야 하는 등 마치 동 주민센터가 ‘흥신소’로 전락한 느낌이다.

이 외에도 동 주민센터 소속 사회단체원 회의참석 등 이러저러한 일로 늦게까지 고생하는 동 주민센터에 근무하는 직원이 안쓰럽기도 하다.

지난 행정기관 구조조정이 논의될 때 동 주민센터를 없애는 방안이 검토됐지만 내가 생각할 때는 오히려 시청의 업무를 축소하고 업무와 인력을 재배치해 동 주민센터를 확충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특히 동 주민센터에서 대민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할 경우 행정의 동맥경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실질적인 복지행정의 전당으로 지역발전을 위한 자치행정의 본산도 동 주민센터가 중심점이 돼야 하며 향후 동 주민센터 운영방향도 그 동안 운영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는 차원에서 생활권역별로 3~4동을 1개 정도의 섹터로 마련 대동(大洞) 주민센터로 설치·운영해야 동 주민센터가 활성화되고 행정의 효율성도 향상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