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조완구 선생을 4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조 선생은 임시정부 내무부장과 재무부장 등 국무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한국독립당을 창당하고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민주정치의 기초를 다졌다.

조 선생은 서울 계동 명문가 집안에서 태어나 1902년 한성법학전수학교를 마치고 내부주사에 임명됐다.

1905년 을사늑약으로 일제에 국권을 침탈 당하자 관직을 그만두고 독립운동의 길로 나섰다. 시종무관장 민영환의 자결과 처남인 금산군수 홍범식의 경술국치로 인한 자결 순국도 독립운동에 참여하는 자극제가 됐다. 선생은 대종교의 간부로 활동하다가 1914년 북간도로 망명, 독립운동 일선에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19년 3월 1일 ‘독립국’임을 선포한 독립선언이 발표되자 북간도와 연해주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선생은 민족의 대표기구인 임시정부를 세우기 위해 이동녕·조성환·김동삼·조소앙 등과 함께 상해로 갔다.

이를 위해 조 선생을 비롯한 대표 인사 29명을 구성한 뒤 먼저 임시의정원을 구성하고 제1회 임시의정원 회의를 개최,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했다.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수립한 이후 27년간 임시정부와 함께 활동했다. 이후 1921년 내무장에 선임된 이래 줄곧 내무부의 책임을 맡았고 1944년 좌우연합정부 구성 시 재무부장을 맡았으며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한국국민당·한국독립당의 주요 간부로 활동하기도 했다.

선생은 임시정부가 대통령 이승만의 탄핵 문제를 둘러싸고 파란에 휩싸였을 때 임시정부를 지켰으며, 1930년대 중반 민족혁명당 결성을 계기로 무정부상태에 빠졌을 때 김구·이동녕·송병조·차리석 등과 함께 다시 임시정부를 일으켜 세웠다.
조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존속한 27년간 한시도 임시정부를 떠나지 않고 끝까지 지켜낸 대표적인 거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