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식 인천시 서구체육회 수석부회장
 인천시 육지면적의 34%인 131.63㎢에 인구는 정확하게 41만 명이 살고 공무원 807명에 구의회의원 14명으로 2014년 아시아경기대회 주 경기장 건설로 문화체육의 중심도시, 그리고 경인아라뱃길 개통으로 종합 관광레저 및 동북아 신물류 거점도시로 성장할 신도시가 인천 서구지역이다. 그런데 이곳이 각종 공해 유해물질 배출시설이 인천에서 가장 많이 밀집돼 있는 곳이라는 것을 얼마나 많은 시민들이 알고 있을까? 우선 대표적인 것이 세계 최대의 수도권 쓰레기매립장이다. 이곳은 20년 전부터 하루 10t 트럭 2천500대 분량인 2만5천 t의 냄새나는 각종 쓰레기가 버려지고 있다.

그뿐이 아니라 5개의 화력발전 시설업체에서는 발전기 51기가 돌아가고, 인천시 전체의 쓰레기를 소각하는 광역쓰레기소각장 등 소각장 4곳에서는 검은 연기를 뿜어대고,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는 다른 지역은 하나도 없는데 서구지역에만 6개가 있고, 골재파쇄업소는 17개가 있다. 이 많은 업체에서는 매일 각종 공해와 날림먼지를 일으키고 있다. 
또 있다. 22개의 폐수 수탁업체와 하수처리시설 3개소가 유해물질을 배출하는가 하면 연간 15만t의 주물을 만들어 국내 총생산량 20%를 차지하는 32개의 주물공장이 어울려있는 주물단지뿐만 아니라, 인천시 전체 사업장 환경 배출시설 3천 곳 가운데 서구지역에 2천230곳인 인천시 전체의 75%가 서구에 밀집돼 있고 그곳에서 환경공해를 배출하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서구의 환경문제는 인천시의 환경문제이며 인천시의 환경은 세계적인 환경문제라는 말이 있다. 이와 같이 서구주민들은 20년간 수도권쓰레기매립장을 비롯한 그 많은 환경공해업체의 악취와 분진공해로 고통을 겪으며 참고 살아온 사람들이다. 그러나 서구의 대표적인 환경업체인 수도권쓰레기매립장이 2016년 매립을 종료하기로 해놓고 환경부와 서울시는 2044년까지 매립기간을 연장하겠다고 한다. 그래서 서구주민들은 쓰레기수송도로를 막아서라도 매립기간 연장을 못하게 하겠다고 하는 판이다.

이런 가운데 인천지역 6개 선박수리 업체들이 (주)인천조선이라는 법인을 설립, 민간투자방식으로 633억 원을 들여 서구 거점도 해안에 1천190m의 호안공사와 해상 17만5천500㎡를 매립해 조선수리단지 조성을 위한 시행허가를 인천지방해양항만청에 제출했다는 반갑지 않은 소식이다. 한술 더 떠 지난 12일 국토해양부는 선박수리로 한정했던 선박수리시설의 범위를 조선과 운영시설까지 설치를 확대하는 내용의 항만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오는 28일까지 입법예고하고 의견수렴과 법제처의 심사를 거쳐 9월 중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시행규칙 개정안이 시행되면 그동안 제외됐던 선박건조시설이 포함돼 특별한 이변이 없는 한 (주)인천조선은 서구 거점도에 예정대로 선박수리조선소를 조성할 것이고. 서구에는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고 도시경관을 저해하는 또 하나의 다른 환경저해시설이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조선수리단지는 유독성 미세 페인트와 쇳가루, 중금속 분진, 폐유 등의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시설로서 공유수면매립에 따른 생태계 교란은 물론 서구가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정서진 관광단지 조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꼭 막아야 한다는 것이 서구주민들의 여론이다. 그동안 서구주민들은 각종 혐오시설이 내 집 앞마당에 들어와도 국가의 국민임을 내세워 국가의 시책을 어쩔 수 없이 받아들였다. 하지만 거점도 조선수리단지 조성은 오염물질 배출과 공유수면 매립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만약 지역문제를 충분히 검토하지 않고 주민의 이익이나 의견을 배려하지 않은 채 밀어붙이기 식으로 허가할 경우 주민들이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 주민들은 정부의 잘못된 정책결정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이 위협받지 않도록 해주길 바라고 있다. 꼭 해야 할 이유와 명분이 있다면 그곳에 살고 있는 주민들의 의견이 함께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과거와 같은 일방적인 지시와 권위주의적 방식을 통한 문제해결은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서구 40만 주민은 수도권쓰레기 매립기간 연장 반대와 거점도 조선소수리단지조성 반대를 외치고 있다. 주민들의 정서와 의견을 무시하지 말고 항구적인 정책수립과 거시적인 안목으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