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1일부터 공공부문을 비롯해 금융·보험업을 중심으로 주5일근무제가 확산됨에 따라 교육계에서도 주5일수업제에 대한 요구도 점차 커지고 있다. 우리사회는 주5일 근무제에 대한 완전한 합의와 시행계획을 마련하지 못한 상태이기는 하지만 결국 대세는 시행하는 쪽으로 기울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며 따라서 주5일수업제를 맞게 될 상황에서 교육계에서도 응당, 이에 대비한 역할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주5일 수업제란 일주일에 5일만 학교에 등교해 정규교과 수업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1일은 가정에서 다양한 체험과 학습을 심화·보충하는 효율적인 학교운영 방식의 하나라고 볼 수 있어 학생들에게는 주체적인 학습능력과 자질을 길러주고 가족과의 유대증진, 지역사회에서의 사회체험을 통한 바람직한 인간성 형성 등의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반면 우리 사회의 핵가족화 현상으로 부모와 함께 토요일을 보낼 수 없는 나홀로 학생이 상당수에 이른다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어 주5일 근무제가 완전히 실시돼야 주5일 수업제가 병행 실시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또 지역사회가 학생들의 여가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이나 프로그램을 제대로 갖추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현행 대학입시제도가 그대로 유지되는 한 학원과외가 성행할 가능성도 적지 않고, 매주 연휴형태의 휴일이 지속되면서 학생들의 교외생활지도에도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특히 나이가 어린 초등학생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에게는 양육부담의 가중도 적지 않을 것이라는 점도 쉽게 예상된다.
 
앞으로 주5일 수업제가 확산되면 교육의 기능이 가정과 지역으로 일정부분 분리될 것이고 학교의 힘만으로 교육활동을 하기는 어렵게 될 것이다. 교육은 학교의 몫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주5일수업제는 학교만의 일이 아니라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어우러져 협력하는 교육공동체 문화관이 형성되어야 한다. 우리 현실이 주5일수업제에 대한 사회적인 인프라가 매우 미흡하지만 교육공동체의 관심도는 계속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제 주5일수업제가 주5일근무제와 더불어 사회적인 대세가 되어있는 만큼 교육당국은 주5일수업제에 대한 교육적 의의나 필요성을 계도하면서 폭넓게 홍보해야하며 범부처적으로 사회 인프라 구축과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시점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