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기지역의 환경오염배출업소의 관련법 위반율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란 것은 이미 알려진 일이다. 이는 토양의 중금속 오염도가 전국 평균치보다 많게는 4배 가까이 높아 토양오염이 이미 심각한 상태로 진행중에 있는가 하면 폐광된 금속광산 주변의 토양과 하천에 환경기준치를 초과하는 중금속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니 이를 잘 말해주고 있다고 본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환경부는 전국의 환경오염 배출업소 3만520개 업소를 대상으로 한 2분기중의 단속결과에서 경기도의 경우 단속대상업소 7천85개 업소 중 무허가 운영으로 인해 영업정지 등의 처분을 받은 업소가 790개 업소로 위반율이 16.2%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이같은 위반업소율은 전국 평균의 6.6%보다 약 5%p나 높은 것이며 전국 지자체 위반율 가운데 최고치이다.
 
더구나 이들 단속업소 가운데 333건이나 검찰 등 관계기관에 고발돼 위반정도로 전국 평균 40건에서 가장 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시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단속대상 1천999개소 중 158개 업체가 적발돼 위반율 7.9%를 기록했고 이중 고발건수도 70건으로 경기도에 이어 2위를 차지해 환경오염물 배출업소의 위반은 정말 한심스럽기 짝이 없다.
 
이같은 인천·경기기업들의 환경의식은 경기도내의 폐금속광산의 오염실태 정밀조사결과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4개 폐금속광산 가운데 오염도가 가장 심각한 곳은 화성시 봉담읍 상리 삼보광산으로 인근 농경지에서 카드뮴, 납, 아연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또 광산하부의 침출수에서도 카드뮴, 납, 아연이 모두 기준치를 초과했고 아성시 보개면의 보개광산 인근 논과 양평군 양동면 금왕광산 부근 농경지에서도 비소와 수은이 기준치를 넘긴 것으로 조사됐다고 하니 알만하다.
 
아무튼 수십년에 걸쳐 지속적으로 토양과 하천에 중금속이 축적된다면 농작물과 가축으로의 전기는 물론 먹이사슬을 통한 전기 가능성이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을 우려하지 않을 수가 없다. 더욱이 IMF이후 수익성이 없다는 이유로 폐쇄된 수백개에 이르는 광산에서 토양오염도 심각한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환경오염물 배출위반업소의 증가로 환경악화를 가중시킬 것이 분명하다. 더 늦기 전에 환경위반업소를 줄이는데 행정지도는 시급한 과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