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 문제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젊은이들의 일자리 문제가 우리사회의 가장 큰 난제의 하나로 떠오른지 오래됐기 때문이다. 최근 통계청이 밝힌 고용동향에선 청년실업률이 떨어지기는 커녕 날로 더해 간다는데 그 심각성이 도사리고 있다. 일부 젊은이들은 이같은 실업자로 전락되는 것이 두려워 대학졸업을 무작정 연기하고 있는가 하면 군입대, 임시방편적인 대학원 진학 등 각종 고시준비에도 희망자가 늘고 있다니 알만하다.
 
하긴 이처럼 높은 청년실업률은 세계적인 현상이긴 하지만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도 최상위권에 속하고 있다니 답답하기 짝이 없다. 게다가 청년실업률은 일반실업들의 거의 2배가 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정부는 이에 대한 청년실업의 뾰족한 대책마저도 아직 마련하지 못하고 있어 한심스럽기만 하다.
 
더구나 통계청이 내놓은 고용동향에선 20~29세 실업자가 무려 32만9천여명으로 이는 지난해 같은달의 28만1천명보다 17.1% 늘면서 20대 실업률이 5.8%에서 6.9%로 1년사이 1.1%포인트가 높아졌다니 이해가 된다. 또한 장기실업 끝에 구직 자체를 아예 포기한 청년층이 많아지면서 비경제활동인구 총 구직단념도 10만1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때보다 31.2%가 늘었다고 하니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인데도 정부의 정책은 여전히 무책이다. 국회도 마찬가지다. 청년실업을 우려한 나머지 추경예산에 반영을 했다지만 이 역시 근본적대책과는 아직 거리가 멀다. 우리가 바라는 것은 범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해야만 청년실업이 해결될 수가 있다고 본다. 그런데도 기업들이 미래를 내다본 투자설비를 외면하고 있어 청년실업은 증가되고 있어 걱정이다.
 
아무튼 위험수위에 이른 청년실업의 문제는 정부차원에서만 아니라 우리 모두가 해결해야 할 과제다. 물론 취업대란은 이른바 3D업종의 인력난 속에서 벌어지고 있어 정부와 기업이 함께 풀어야 할 숙제가 분명하다. 때문에 기업이 살아야만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은 부정할 수가 없는 일이다. 따라서 노동계도 협조해야 할만 하다. 정부와 노동계는 말할 것도 없고 기업도 더 늦기 전에 나라의 장래가 걸린 청년실업 문제에도 눈을 돌려야 할 때인 것만 같다. 청년실업 문제가 갈수록 악화돼 가고 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