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식 인천시서구발전협의회 회장

사회가 전문화되는 추세에 비춰보면 아이들의 소질에 맞는 한 가지 특기를 살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칫 아이들의 심성이 고물상처럼 복잡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배우지 못했고 가난했고. 일류대학을 졸업하지 못한 마음의 병으로 정상적인 사고(思考)보다는 내 자식이 남보다 우수하길 바라고. 한 점이라도 더 받아야 행복의 길이 열리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회교육 풍토 때문에 아이들은 시험공포에 시달리고 학원 과외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래서 부모들은 자신의 한(恨)을 자식들에게 만은 꼭 성취시키고 부족했던 것은 물려주지 않으려고 모든 정성을 쏟고 있는지 모른다.

 그래서 자식들의 적성을 무시한 채 각종 학원 과외로 아이들의 어깨가 축 늘어지게 공부시키는 부모들의 교육철학으로 아이들이 서야 할 곳을 잃게 하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 봐야 한다.

이런 현상은 자식교육에 있어서는 투자를 아끼지 않는 부모들의 교육열도 있지만 학원 난립현상으로 인한 학원 간 과열 경쟁풍조도 한몫하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그뿐이 아니라 집에서 부모들이 아이들의 숙제 등을 도와줄 수 없기 때문에 과외를 시킨다는 가정도 있다. 예를 들면 초등학교 6학년에 다니는 딸의 수학문제를 도와주겠다고 나섰다가 얼굴이 붉어질 수밖에 없었다는 어느 학부모의 말대로 문제에 대한 개념이 선뜻 떠오르지 않아 도움을 줄 수 없었기 때문에 딸 보기가 민망해 부득이 학원 과외를 시키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다 보니 부모 입장에서 학교나 학원에서의 공부에 흑사당하는 자식들이 애처롭게 보여 간혹 학원과외로 부부간 말다툼을 하면서도 부모가 아이들을 지도할 능력이 없으니 어찌할 수 없어 학원에라도 보내야 할 수밖에 별다른 도리가 없다는 부모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요즘 아이들은 하루의 스케줄이 어른 못지않게 바쁘다. 학교에 갔다 오는 것으로 일과가 끝나지 않고 몇 개의 학원을 들려야 하고 저녁에는 학교숙제에 매달려야 한다. 그러니 극성스런 어른들 때문에 자연과 접촉하며 살아갈 수 있는 기회가 멀어지고 있다고 보여진다.

지금의 어른들은 자연을 봤고, 계절을 봤으며, 또 시간의 흐름을 봤다. 비록 사람이 북적대는 백화점이 없었고 희한한 장난감도 없었지만 몰려다니면서 풍성한 자연을 통째로 보고 살았다. 그래서 옛날 부모들은 EQ 니 감성지수니 하며 유난법석 떨지 않았어도 자연스럽게 감성을 기를 수 있었던 것이다.

아마 옛날 사람들이 믿었던 최고의 교육은 직접 보고, 듣고, 만지고, 느끼는, 감각적 실물현장 교육이었던 셈이다. 그런데 요즘은 아이들이 손꼽아 기다리던 여름방학이나 겨울방학이 와도 아이들을 산이나 들로 내보내지 않고 부족했던 교과목 공부나 착실하게 해주길 바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공부에 찌들어 고생하는 것이 미안해 며칠만이라도 마음 편하게 놀게 해주고 싶다가도 워낙 세상이 험하다 보니 마음 놓고 혼자 내보낼 수 없는 것이 부모들의 솔직한 심정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하기야 자식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 어느 시절인들 세상이 험하게 보이지 않을 때가 있을까? 인생을 살아가는 것은 운동경기와는 달라 오직 일등의 수상자 만이 칭송받고 인정받는 것은 결코 아니라고 본다.

사람이란 각자 가치관이 다른 인생관이 있다. 내가 가야 할 길에 대해서는 각자의 소질에 따라 결정해야지 부모가 억지로 밀어붙인다고 무조건 무엇이든 다 될 것이란 생각은 버려야 한다.

 이제 아이들의 특기와 적성을 발굴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본인의 미래상을 구체화 할 수 있도록 사교육비 부담을 줄이고 아이들에게 맡겨보는 교육을 생각해보자.

어린 나이에 세상을 보면 그것이 두뇌 속에 각인되고 가슴에 새겨지는 것이 어른과 많이 다르다고 한다.눈 딱 감고 돌아오는 여름방학에는 아이들을 밖으로 내보내 보자. 산으로 들로 쏘다니면서 마음껏 자연과 벗하며 생활하도록 말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