過則勿憚改(과즉물탄개)
過 허물(지낼) 과/則 곧 즉/勿 말 물/憚 꺼릴 탄/改 고칠 개

공자는 “군자가 무게 있게 행동하지 않으면 위엄스럽지 않으니, 배움이 있다 해도 견고하지 못하다.

   
 
충실과 믿음을 위주로 하며 자기만 못한 이를 친구로 삼지 말 것이요, 허물이 있은 즉 고치기를 꺼리지 말아야 한다.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라고 했다.

「논어」 학이편에 나오는 말이다.

허물이 없고 실수를 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잘못을 다시 범하지 않기 위해서는 잘못을 고치기를 조금도 꺼리지 말아야 한다.

 자신의 잘못에는 너그러우나 남의 잘못은 추호도 용서하려 하지 않는 것이 세상 인심이다.

 공자는 “스스로 허물이 있는데도 고치지 않는 것이야말로 이것을 일러 허물이라 한다(過而不改 是謂過矣)”고 했다. <鶴雲>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