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동북아 물류중심항 전략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서는 인천 송도신항만 건설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극히 당연한 현상이라 하겠다. 보도에 따르면 민주당 인천시지부와 인천항발전협의회 공동주최로 엊그제 열린 `송도신항만의 중요성과 개발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인천시와 인천지방해양수산청 관계자, 학계 전문가, 무역협회 인천지부 등 관계자들은 한결같이 송도신항을 빨리 건설하는 길이 위기국면에 직면한 정부의 동북아 물류중심(Hub)항 전략을 반전할 수 있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한 교수는 세계적 선사들이 부산항을 버리고 중국 항만에 직접 기항하는 체제가 빠르게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양항체제는 불필요하므로 중국을 겨냥한 송도신항 허브화 전략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송도신항만 개발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했다. 자칫 더 이상 개발이 지연될 경우 수도권지역 화물이 부산·광양항으로 가기보다는 중국항에서 선적해야 하는 상황까지 악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저히 믿기지지 않을 최악의 상황이 도래될 수도 있다는 경고가 아닐 수 없다. 그렇다고 해법이 없는 게 아니다. 오는 2010년 34선석, 오는 2020년 54선석 개발시기를 앞당겨 건설하고 항만운영도 현재 컨테이너 정기항로가 개설된 항로 외에 한중간 다양한 항로를 개설해 세계의 화물이 인천을 통해 중국으로 갈 수 있는 시대를 열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항만규모가 적어도 54선석은 돼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인천시가 추진하는 송도신도시와 해수부의 신항개발계획이 일부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재정경제부는 송도신도시에 대한 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하면서 오는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송도신항 개발계획 34선석 가운데 18선석만 포함시켜 개발계획이 지연되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도 하다. 이 점을 하루속히 해소해야 한다. 주지하다시피 현재 인천항 내항은 고비용 저효율 항만으로 경쟁력을 상실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송도신항개발을 서둘러 추진하기 위해 인천시를 중심으로 지역 정치권, 항만당국, 관련 단체, 기업이 참가하는 가칭 `송도신항 추진협의체' 구성 제안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이다. 이제 주사위는 던져졌다. 전국 처음으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인천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비약적인 발전 가능성이 눈앞에 놓여 있다. 시를 비롯한 유관기관·단체는 이 호기를 절대 놓쳐서는 안된다. 송도신항추진협의체의 조속한 구성을 촉구하는 바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