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시민을 감동시키는 정책 연구가 인천발전연구원이 가야 할 길이라고 믿습니다.”
이갑영(59) 제13대 인천발전연구원장이 취임했다.

인천시 서구에 소재한 인천발전연구원에서 만난 그는 “연구위원들이 연구원으로서 존중받는 연구원을 만들겠다”고 취임소감을 밝혔다. 또 연구원들이 신명나게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데도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3년, 인천시정을 뒷받침할 정책 비전과 인천의 변화·발전을 이끌어 나갈 각오를 들어봤다.

  #천하무인(天下無人), 인천발전연구원이 가야 할 길

   
 

이 신임 원장은 인천 유일의 국립대학인 인천대 출신이다.

현재 인천대 경제학과에서 제자이자 후배들을 가르치고 있다.

1회 졸업생이다 보니 동시에 인천대 출신 ‘1호 박사’라는 타이틀도 따른다.

나아가 인천학연구원 원장, 동북아경제통상대학 학장, 부총장 등 학내 요직을 두루 거쳤다.

직전에는 민선5기 송영길 인천시장 취임과 함께 설립한 인천대 동아시아평화경제연구원을 맡아 지역사회에 경제협력을 통한 남북 통일의 중요성을 일깨우기도 했다.

그런 그가 인천의 사회·문화·정치·경제 등을 연구하는 최고 권위 학술기관인 인천발전연구원장이라는 자리에 앉게 됐다.

천하무인은 중국 춘추전국시대 사상가인 ‘묵자’의 가르침 가운데 하나로 ‘하늘 아래 남이란 없다’는 뜻을 품고 있다.

그는 이 글귀를 늘 가슴에 새기고 있다.

이 말처럼 연구원과 인천시정, 10개 군·구, 300만 인천시민, 정책 의뢰 부서 등 모든 사람을 동등하게 존중한다는 게 그의 각오다.

   
 
# 사회·문화·정치·경제 모든 분야를 꿰뚫어야 한다
이 원장이 바라보는 과거 인천의 단상은 이랬다.

“1960년대 말부터 대한민국이 산업화를 시작하면서 인천은 복잡다단한 구조를 갖게 됐습니다. 생산기지, 중간 기착지, 공업도시, 공해도시, 주변도시 등이 대표적인 표현이었죠. 그 앞에는 모두 ‘서울’이라는 단어가 붙었고 ‘회색도시’로 대표되는 인천은 그야말로 산업화의 희생양이 된 것이나 다름 없었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그 가운데 꽃이 폈고 산업화를 위해 노동자가 생겨났고, 필연적으로 인천은 민주화의 성지가 됐습니다. 사막 한가운데에서도 오아시스가 있듯 인천 역시 사람이 사는 곳이었죠.”
하지만 그는 현재 인천이 180도 다른 사회로 변화·발전하고 있다고 평가한다.

“인천은 동북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고, 서울 주변도시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이 샘솟는 도시가 됐습니다. 남북 간 화해 협력의 중심도시이자 대한민국이 유라시아 대륙으로 뻗어나가는 관문도시가 된 것입니다.

녹색기후기금(GCF)을 시작으로 친환경 녹색도시의 허브, 하늘길과 바닷길이 융합하는 도시로 거듭나는 것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여기에 ‘문화 불모지’라는 오명을 벗고 문화와 예술이 살아 숨쉬는 도시로 나아가려 애쓰고 있습니다.”

그는 이 같은 변화의 중심에 ‘인천발전연구원’이 있다는 확신이다.

누군가는 앞장서서 길을 안내해야 하는데, 이 문제를 풀어나가는 일이 그가 맡은 역사적 소명이라는 판단에서다.

# How,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그는 현재 인천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에 대한 몰입도를 최대치로 끌어올려야 한다는 신념이다.

같은 맥락에서 그는 인천발전연구원이 인천시가 출원해 시의 산하기관으로 치부되는 오해부터 벗겠다고 선언했다.

“연구원은 정치적 이해 관계나 예산 지원 틀에서 벗어나 정도를 걸어야 합니다. 분명 인천시가 나아가야 할 길을 안내하는 것이 첫 번째 과제지만, 시 정부 요청에 목을 매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그런 차원에서 연구원 스스로 책임과 권한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기본 연구과제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그동안 인발연에서 생산된 정책들이 인천을 발전시키는 데 커다른 도움이 된 것은 사실이지만 수동적인 자세에서 능동적인 자세로 나아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300만 인천 시민과 소통하겠다
인천발전연구원의 또 다른 지상과제가 시민과 소통이다.

그런 면에서 그동안 현안 과제를 피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민감한 사안을 다루지 않다 보니 자연스레 시민 관심에서 멀어지게 됐다.

이 문제를 이 원장 또한 잘 알고 있다.

그는 지역사회 소통 부재에 대해 “정면으로 돌파하겠다”고 말했다.

“인천의 현안문제를 풀어가는데 앞장서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장 이야기를 들어야 하는데 그동안 연구원은 폐쇄적이고, ‘정치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지적을 받아왔습니다.

우선 연구원 안에서부터 달라지겠습니다. ‘소통’하는 문화를 만들겠습니다.  연구원의 중심은 ‘연구위원’에 있다는 원칙도 세우겠습니다.

그들은 입력하면 답을 내놓는 로봇이 아니라는 점에서 연구자로서 존중받을 수 있도록 최대한 뒷받침하겠습니다. 단순히 정책을 만들어내고 분석하는 일을 지원하는 단계를 넘어 연구자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겠습니다.”

   
 
# 소통으로 인천 시민을 감동시키겠다
“연구위원과 일반행정 직원 등 연구원 내부 소통을 마치면, 그 결과물은 이제 인천 시민에게 나눠 드려야 합니다.”
이 원장은 연구원이 가야 할 궁극의 가치는 인천 시민에게 있다고 자신했다.

그런 차원에서 그는 끊임없이 인천 사회와 대화하겠다고 했다.

연구원 스스로 앞장서서 인천을 배우면서 인천을 이해하겠다는 각오다.

“합리적인 정책 대안을 수립하기 위해 인천 시민을 이해하는 일부터 차근차근 풀어야 합니다. 그런 면에서 학술기관과 언론, 시민사회, 기업 등과 끊임없이 대화하고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정책으로 살아 남으려면 현실과 맞닿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연구원이 정책 생산자라면, 인천시는 정책 수요자이고, 인천 시민은 정책 수혜자가 돼야 합니다.

 이 삼박자를 고루 갖춰야 연구원의 존재 가치가 살아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모든 것을 평가해주는 곳이 지역 언론과 인천 시민사회이기도 합니다.”
 
# 끊임없는 자기반성과 현장주의, 두 마리 토끼 잡겠다 
이 원장은 정책을 제안한 이해 관계자들과 착수보고회 및 중간보고회 과정에서 끊임없이 대화에 나설 계획이다.

이를 테면 ‘전통시장 육성방안’이라는 과제가 있을 경우 직접 전통시장 상인과 함께 어울려 생활하고, 대화를 나누는 과정에서 답을 찾는 현장주의에 집중하는 방식이다.

또 독립성과 자율성을 인정받기 위해 스스로 자기반성하는 모습부터 갖추겠다는 의지다.

인천시와 인천시민을 이해시키고 설득하기 위해서는 입맛에 맞는 제안이 아닌, 받아 안을 수밖에 없는 창조적 정책 제안이 더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이를 위해 인천시나 10개 군·구 이외에서 외부과제를 수탁하는 노력도 뒤따라야 한다.

이 원장은 “연구원이 생산한 정책들이 인천시나 시민사회에서 외면받는다면 독립성과 자율성을 외칠 자격이 없다”며 “겸손한 자세로 연구에 임하는 자기반성과 인천 시민이 안고 있는 고민을 이해하기 위해 현장에서 답을 찾는 노력에 힘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