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馬太守(삼마태수) : 三 석 삼/ 馬 말 마/ 太 클 태/ 守 지킬 수
청백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고을의 수령이 부임지로 나갈 때나 또는 임기가 끝날 때 감사의 표시로 보통 그 고을에서 가장 좋은 말 여덟 마리를 바치는 것이 관례로 돼 있었다.

조선 중종 때 송흠(宋欽)이 새로 부임해 갈 때 세 마리의 말만 받았다.

한 필은 본인이 탈 말, 나머지 2말은 어머니와 아내가 탈 말로 총 3필을 받아 사람들이 송흠을 삼마태수라 부른데서 청백리를 가리키는 말이 됐다.

고려 충렬왕 때는 임기가 끝나는 부사에게 7필의 말을 바치는 법이 있었는데 부사 최석은 그 7마리의 말을 받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애초 받치려던 말이 망아지를 낳아 8마리의 말을 승평고을 백성들에게 돌려줬다.

 이에 부민들이 최석의 뜻을 기려 비를 세웠는데 바로 팔마비(八馬碑)다. <鶴雲>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