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식 인천시서구발전협의회 회장

 사람들은 자기 철학에 의해 행동하기를 원한다. 그러면서 사실은 철학이 아닌 엉뚱한 행동으로 일생을 살아간다. 이유는 철학보다 더 강한 욕망이 사람을 움직이기 때문이다. 욕망은 감정의 움직임이고 철학은 이지(理智)의 움직임이라고 했다. 그래서 욕망과 이지가 싸우다 어느 한쪽이 마침내 손을 든다고 한다.

선거철이 다가오고 있다. 명망이 높고 능력있는 인재들이 정치에 뛰어드는 것을 무턱대고 비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욕심이 있으되 철학으로 자기를 조절을 할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해야 한다. 그동안 단체장과 지방의원으로 활동했던 사람들은 이제 유권자들의 냉철한 심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으며 새로 도전하는 후보자들은 능력을 검증받아야 한다.

요즘 각 지역에서는 정당공천만 받으면 무조건 당선된다는 엉뚱한 착각 속에 자질검증도 없이 철새처럼 줄서기에 열을 올리는 후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이 과연 엄격한 선거법을 지키고 구차한 당선보다 낙선을 각오하고 규칙을 지키는 멋진 후보로 평가받을 수 있는 후보인지 지켜봐야 한다.

지금은 정당과 정치인에 대한 불신의 벽이 높다. 그래서 정당공천이 당선이라는 등식은 통하지 않는다.

더구나 각 정당의 차별성이 지역색을 빼놓고는 거의 드러나지 않으며 지역의 장래와 관련된 정치적 쟁점이 잘 형성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유권자들은 신중하게 지역발전을 이끌 유능한 인물을 골라야 할 책임이 막중해진 것이다.

타협도 모르고 국민도 외면하는 답답한 현재 정치판을 보면 안타깝다. 요즘 정치인들은 자기가 속한 정당이 손해를 보느냐, 이익을 보느냐에 너무 집착하고 있는 모습이다. 물론 이해가 대립되면 싸우기 마련이다. 그러나 어느 선에서 타협이 이뤄져야 정치가 제대로 이뤄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어느 정당이 얼마나 손해를 보느냐. 이익을 보느냐에 대해 대다수 국민들은 잘 모른다. 정치 감각이 둔하기 때문이 아니라 정치판을 바라보고 있으면 답답하기 때문에 참여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 이제 그만하면 되겠다고 생각되는 데도 한 발도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자기 주장만 고집하고 싸우고 있으니 올바른 정치가 되겠는가?

정치가 국민의 행복을 위해 존재한다면 그 방법은 전적으로 국민을 대상으로 한 계획이어야 한다. 국민의 행복에서 벗어난 방법은 방법을 위한 방법밖에 될 수 없다. 선거철만 돌아오면 곳곳에서 자기만이 뜻과 귀함을 갖춘 인물이라며 표를 달라고 아우성이다.

모두가 자기만이 잘났다고 떠들어대니 투표권을 가진 유권자들로서는 고민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물론 삼국지에서 인물로 추켜세울 정도로 뜻과 의지와 긍지 그리고 귀함을 갖춘 후보를 찾는다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더 더욱 그렇다.

요즘 신문이나 TV를 보면 두 가지 현상이 매일같이 벌어지고 있다. 하나는 돈에 과욕을 부리다가 쇠고랑을 차고 감옥으로 들어가 높은 자리에서 낙엽처럼 떨어지는 사람이 있고.

또 하나는 평생 동안 어렵게 모은 많은 재산을 아낌없이 공공을 위해 써달라고 사회에 환원하는 사람이 있다.

명예와 돈 욕심으로 감옥에 간 사람은 철학이 있으되 그 철학이 욕심의 그늘에서 맥을 못 썼고, 많은 재산을 공익을 위해 내놓은 사람은 욕심이 있으되 철학으로 자기를 조절한 사람이라고 봐야 한다.

철학과 욕심은 누구에게나 있다. 학문만이 철학이 아니고 살아가면서 얻는 건전한 상식이 곧 철학이라고 한다.

 그 철학대로 살아갈 수 있는 사람은 나와 전체를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이고 철학을 욕심에게 빼앗긴 사람은 자기 혼자만을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후보자들이 선거에 이기기 위해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최선을 다하는 모습은 정말 아름답다. 그러나 욕심을 너무 앞세워 달리다 보면 불법을 저지를 수 있고 혼탁한 유혹에 빠져 들 수 있다.

유권자들이 후보자에게 감투를 파는 것이 아니라면 이번 선거에는 철학이 있으되 욕심의 그늘에서 맥을 못 추는 사람보다는 철학으로 자기를 조절할 수 있는 인재를 선택해보자.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