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앞바다가 무분별한 해사 채취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더욱 놀라울 일은 올해 채취해야 할 바닷모래 양이 지난해보다 200만㎥나 더 늘어났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생태계 파괴는 물론, 어자원 감소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옹진군은 지난 3월 마구잡이식으로 진행되고 있는 해사 채취를 전면 금지하기로 하고 인천 앞바다에서 벌어지고 있는 해사 채취를 7월부터 전면 금지하기로 했었다. 이유는 생태계 파괴에 따른 어자원 고갈로 조상대대로 이어온 어장이 황폐화 될 것이 우려되기 때문에서다. 군은 이를 위해 올 하반기부터 바닷모래 채취허가를 전면 중지하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건교부 등 관계기관과 단체, 업계 등에 건의형식으로 통보한 것으로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러나 군의 이같은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고 말았다는 소식이다. 중앙정부의 국책사업인 골재 수요량 증가에 따라 해사 채취허가량을 늘리기로 했기 때문이다. 옹진도서 어민들과 환경단체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옹진군은 당초 바다생태계 파괴를 이유로 올해 건교부 배정량에 500만㎥를 낮춘 2천만㎥로 채취예정량을 계획하고 있지만 생태계 파괴와 어자원 고갈이라는 지역실정이 중앙정부의 논리에 밀려 결국 허가하고 말았다. 이번 추가골재수급량 계획은 지난달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인천 연안 해역의 모래 채취는 80년초 건설붐을 타고 필수 골재로 사용돼 오면서 해양생태계 파괴는 아예 무시된 채 마구잡이식으로 파헤쳐져 왔다고 볼 수 있다. 사정이 이지경에 이르다 보니 바다 밑바닥은 끊임없는 모래채취로 변화현상이 심화돼 해양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우리나라 사정상 바닷모래는 건설사업에 필수품이다. 게다가 골재 물량 확보가 수요를 따르지 못하고 있는 현실도 이해못하는 것은 아니다. 건교부의 시각대로 전국 바닷모래 채취량의 60%에 가까운 인천 앞바다 모래의 공급이 중단될 경우 국책사업에 큰 차질을 빚을 뿐 아니라 골재파동을 우려하는 점도 공감하고 있다. 다만 환경변화로 인한 어자원 고갈이 현지 어민들의 생업에 타격은 물론 해양보호차원의 환경피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는 성숙된 자세가 아쉽다는 것이다.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2001년 7월부터 시행된 해양생태계 보전 관리법이 개정돼 한 광구에서 더많은 양의 해사를 채취할 수 있도록 허가기준이 강화된 점이다. 개발과 건설논리에 밀려 갈수록 황폐화되고 있는 인천 앞바다의 생태계 파과와 어자원의 고갈은 불보듯 뻔한 일이다. 이같이 반복되는 사실을 언제까지 바라만 보고 있어야 하는지 한숨만 나온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