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직 인천재능대학교 호텔관광과 교수
곧 한 학기가 마무리되고 또 한 해가 저물어 간다. 어느 순간부터 이때가 되면 전국의 교수들은 다시 졸업생들의 취업 문제로 고민을 시작한다. 특히 전문대학은 직업교육 중심대학이고 교육의 결과가 취업률로 환산되기 때문에 각 대학마다 이른바 취업률 전쟁을 치르게 되는 것이다.

교육부에서도 대학 평가의 틀 중 취업률을 우선순위에 두고 있으며, 또 이를 재정지원사업과 연계해 평가하고 있다. 이런 경쟁의 틀이 과연 바람직한가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분분할 수 있으나, 나는 우리 졸업생들 모두가 자신이 원하는 기업체에 취업해 보다 질 높은 삶을 영위해 나아갈 수 있기를 정말 간절히 꿈꾼다.

한때 우리 사회 젊은이들은 질 높은 취업을 위해 ‘다양한 스펙 쌓기’에 시간과 비용 등 모든 걸 올인한 적이 있다. 원래 스펙(Specification)은 일반적으로 사용 재료의 재질, 품질, 치수, 성능 등을 이르는 말이지만 직장을 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학력, 학점, 자격증, 토익점수, 어학연수 등을 합쳐서 그 사람의 능력이나 수준을 평가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곧 스펙의 한계가 드러났다. 소위 스펙이 좋다는 친구들은 비록 개인적인 역량은 뛰어나지만 조직에 헌신적이지 못해 조직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이라는 측면에서는 오히려 이들이 방해가 되기도 했다. 아무리 능력이 뛰어나도 독불장군(獨不將軍)처럼 혼자서는 일할 수 없는 법. 협업이 일상화된 조직 속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신입사원을 원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개성 없는 스펙 대신 ‘나만의 스토리’를 강조하고 있다. 즉, 남들과 똑같은 평범한 스펙보다는 다른 사람과 차별된 ‘나’를 만들고, 이러한 차별성을 가지고 기업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나만의 ‘스토리’를 통해 취업에 성공하는 전략인 것이다. 스토리는 똑같은 스펙을 가지고 있는 여러 경쟁자 중에서 ‘유일한 사람’이 될 수 있어 나를 브랜드화하는 좋은 무기가 될 수 있다. 면접 자리에서는 자신을 세일즈하는 훌륭한 스토리텔러가 돼 다른 사람과 같은 인생을 사는 것이 아닌, 나만의 인생을 똑바로 걸어 나갈 수 있는 사람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 나는 ‘스펙보단 스토리’에 공감하면서도 ‘스펙, 스토리보단 인성’을 더욱 강조하고 싶다. 그럼 인성이란 무엇인가? 내가 생각하는 인성이란 우선 밝은 미소를 가진 학생이며, 다음으로 인사를 잘 하는 친구이며, 마지막으로 매사에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적극성을 가진 청년이라고 정의하고 싶다. 나는 이런 인성을 갖춘 친구가 정말 탐이 난다.

교수라는 신분의 특성상 나는 매년 많은 학생들을 새로 만나고 또한 떠나보낸다. 어떤 친구가 가장 기억에 남을까? 공부 잘한 제자도 아니고, 학과나 학급 활동을 열성적으로 한 친구도 아닌 그냥 대면할 때마다 밝은 미소로 반갑게 인사하고 학업은 물론 매사에 자신감으로 가득한 적극적인 녀석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이들의 미래는 많은 난관이 기다리고 있지만 이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자기주도적으로 삶을 헤쳐 나갈 것으로 확신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