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민이 원하는 공약 1순위, “경제를 살려주세요.”
300만 인천시민이 유정복 인천시장에게 가장 원하는 1순위 공약은 ‘경제가 살아나는 도시’다. 팍팍한 살림살이만큼이나 시민이 느끼는 경제적 빈곤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대에 부응하듯 ‘힘 있는 시장’을 캐치프레이즈로 내건 유정복 인천시장 역시 5개 분야 131개 선거공약 가운데 ‘경제’를 최우선 과제로 꼽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천발 KTX’로 대표되는 철도망 혁신과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제3연륙교 건설’ 등 광역교통망 개선이 우선순위에 오르고 있다.

영종도 카지노 사업 추진 등 관광산업 활성화 또한 유 시장이 눈여겨보는 분야다.

창조경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SW) 융합클러스터 사업도 주목받고 있다. 박근혜정부 출범과 함께 강조돼 온 창조경제의 핵심 사업인 만큼 인천이 바이오·IT벤처산업 메카로 발돋움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는 판단이 깔렸다.

# 인천의 가치 재창조하는 방식으로 경제 살리겠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창조경제 발전의 동력으로 맞춤형 원도심 개발, 대한민국 관광메카, 경제가 살아나는 도시 등 3대 어젠다를 설정했다. 원도심 개발사업은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출구전략 강화를 기본으로 주거 개선에 초점을 맞췄고, 루원시티 및 도화지구 등 대단위 원도심 개발사업도 주요 사업에 포함됐다.

인천관광공사 부활은 유정복 시장이 추진하는 관광산업 육성사업의 신호탄으로 불린다. 관광공사가 영종도를 카지노 특구 중심의 복합리조트 단지로 탈바꿈시키고, 송도·청라국제도시를 금융·의료복합단지로 조성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외에 인천의 대표적 관광명소인 월미관광특구와 소래포구를 발전시키는 청사진도 제시되고 있다.

경제가 살아나는 인천을 실현하기 위해선 ‘경제규제 개선단’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영활동 개선을 위해 ‘손톱 밑 가시’를 뽑는 일에 초점을 맞춘다는 전략이다.

특히 시장 직속에 ‘투자 및 기업유치단’을 둬 인천 경제 발전을 위한 세일즈 마케팅에도 집중 투자하기로 했다. 이를 토대로 인천 경제 현안인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항공산업 융·복합 클러스터 육성, 자동차부품산업단지 조성에 힘을 실을 계획이다.

# 재정난 여파, 집중과 분산으로 출구 찾는다
유정복 시장의 경제 살리기 프로젝트는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하는 신기원은 아니다. 대다수가 안상수·송영길 전임 시정부터 이어져 온 불가피한 현안이기 때문이다.

루원시티와 도화지구, 재개발·재건축 등은 부동산 개발 광풍을 타고 성급하게 추진됐다는 평가를 받았고, 송도·청라·영종국제도시는 정부가 밀어붙인 사업인 탓에 인천시로서는 피할 수 없는 운명이기도 했다.

인천관광공사 부활 역시 긴축재정을 타개하기 위해 송영길 전임 시정이 펼친 조직 슬럼화를 실패로 간주, 시계추를 되돌린 대표적 사례다.

이처럼 유 시장의 인천 경제 활성화 정책에는 전임 시정의 잘잘못을 평가하고, 이를 원궤도로 다시 돌려놓으려는 ‘중간점검식 재평가’라는 해석이 뒤따른다.

단적으로 표현하자면 송영길 전 시장이 인천터미널 및 송도 6·8공구 등 소위 ‘노른자위 땅’을 팔아 재정건전화를 시도했다면 유 시장은 긴축예산 운용과 함께 될 만한 사업만 챙기는 ‘실속 경영’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해석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재정난을 외면할 수 없기에 살릴 것은 살리되 잘못된 것은 과감히 수정하는 집중과 분산을 꾀해야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 경제가 살아나는 창조경제 성공하려면
유정복 시장이 추진하는 ‘인천만의 창조경제’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선 정부 정책에 기조를 맞추되 인천만의 특수성을 감안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게 인천 경제인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단적인 예로 정부가 재개발·재건축과 대단위 부동산 투자개발사업에 손을 놓은 상황에서 현실성 없는 매몰비용 지원 약속을 남발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대신 영구임대주택 등 저소득 취약계층의 주거환경 개선에 힘을 쏟거나 매몰비용 지원 확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에 힘쓰고, 필요할 경우 전국 지자체와 협의를 통한 대정부 압박도 불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송도국제도시 워터프런트 사업 등 수천억 원이 투입되는 대단위 토목사업을 강행하면서 대시민 설득을 위한 사전 협의를 강화해야 함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 등 영세 소상공인 지원과 같은 경제적 소외계층을 보듬는 정책을 강화하는 것 역시 우선 과제에 둬야 한다는 시각이다.

김종환 중소기업중앙회 인천본부장은 “재정난이 악화되는 것과 지역경제 활성화가 둔화되는 것은 다른 문제”라며 “인천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 밑바닥 경제를 키우는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지문철 대한전문건설협회 인천시회 회장 역시 “인천공항과 송도국제도시 글로벌대학캠퍼스 사업 등 정부 주도 사업과 인천경제청, 인천시 사업 전반에 걸쳐 지역건설업이 참여할 수 있는 제도 개선이 절실하다”며 “인천에서 건설사업이 많다 해도 정작 지역 건설업체는 들러리만 서는 실정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