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경제가 흔들리면 대한민국이 흔들린다. 1997년 외환위기 때 대우그룹 붕괴, 특히 대우자동차 부도는 지역경제를 넘어 대한민국을 위기로 몰아넣었다.

 이제 인천공항과 인천항 그리고 인천경제자유구역을 보유한 인천은 대한민국 경제의 중심에 있다.

대한민국의 성장 동력인 인천이 다시 도약하고 있다. 과거와 현재, 미래 인천경제의 역사 지도를 그려 봤다. <편집자 주>

# 인천 경제 40년
인천의 초기 경제는 개항기 무역을 중심으로 해운업, 하역업, 유통업 등이 주였다. 1900년대 초에는 대동아 전쟁에 나선 일본의 전략에 따라 경공업과 중공업 등의 공업기반으로 형성됐으나 한국전쟁 때 대부분의 산업기반이 파괴됐다.

   
 

오늘날 인천지역 기업들은 대부분 1960년대와 1970년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신흥 자본이 들어오면서 현재 틀을 갖췄다.

이 당시 일부 기업은 많은 계열사를 거느린 대기업 집단으로 발전하게 된다. 대표적인 기업이 대우계열사다.

 여기에 국가공단인 4·5·6공단이 잇따라 조성되면서 이들과 직간접으로 연계된 중소기업들이 대거 입주하면서 인천은 경제 호황을 이룬다.

특히 인천에서 대우자동차의 역할은 컸다. 대우차는 1950년대 미군 차량을 개조해서 팔던 신진자동차에서 출발한다. 1972년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 GM코리아로 회사명을 바꾼 이후 1976년 새한으로 바꾸고, 1978년 대우가 산업은행의 보유지분을 인수한 뒤 대우자동차가 탄생했다.

하지만 이후 인천은 중소기업 등 영세 제조업 중심으로 경제판이 뒤바뀐다. 정부가 국가 균형발전과 국토를 효율적으로 관리한다는 논리로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서 과밀억제정책을 시행하면서부터다.

대기업 비중은 점차 감소 추세로 돌아선 반면 중소기업 중심의 기업구조로 변하면서 1985년 국내 최대 중소기업 전용단지인 남동국가산업단지 955만여㎡가 조성됐다.

지역 중소기업들은 대기업, 특히 대우그룹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는 기형적인 경제구조가 재편된 모양새다. 결국 정부 주도 하의 경제정책은 기업의 외형적인 성장에서는 성공했지만 지역경제의 질적 성장과 경쟁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러한 평가는 1997년 말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엄청난 충격으로 돌아왔다. 지역주민과 상공인이 힘을 모아 설립한 경기은행을 비롯해 신세계투자신탁 등 지역 금융 기반의 붕괴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대우그룹의 해체는 인천지역 경제의 모순을 여실히 드러내 보였다.

# 대우그룹 붕괴
대우그룹의 붕괴로 ▶대우중공업 ▶대우통신 ▶대우전자 ▶대우자동차 등 인천에 있는 대우 계열사가 잇따라 구조조정과 회사정리 절차에 들어갔다.

   
 
이로 인해 대우와 연계된 지역 중소기업들이 줄줄이 도산하는 위기를 맞게 된다.

 1997년과 1998년 인천 기업의 부도율은 1%를 넘어 1.64%로 1천여 개에 달하는 업체가 부도 처리됐다. 대우 사태의 여파로 남동산단의 일반 공장 가동률이 66.8%를 기록한 것을 비교해 볼 때 대우자동차 협력업체의 피해는 더 심각했다.

남동산단 내 자동차부품업체의 가동률은 40% 수준에 그쳤고 부도와 생산 중단으로 20~30%의 공장이 매물로 쏟아져 나왔다.

대우자동차의 부도 처리로 지역은 ▶고용 불안 ▶주식시장 침체 ▶금융시장 붕괴 ▶유가 상승세 등의 악재로 암흑기에 접어들었다.

당시 지역 경기는 하강했고 더욱이 생산은 1997년 -0.2%에서 1998년 1~7월 중 -30.8%로 급감한 반면, 생산 감소와 구조조정에 따라 실업률은 상승했다.

인천 실업률은 9.2%(1998년 8월 중 기준)로 전국 실업률 2위에 오르기도 했다. 이에 따라 ‘인천지역자동차산업 살리기 범시민대회’가 구성되기도 했다.

# 인천 대기업 이탈 과속화
경제위기 이후 전국 평균보다 인천은 항상 실업률이 높았다. 1998년과 1999년에는 부산과 같이 높은 실업률을 보였다. 2000년 들어 다소 안정세로 나타났지만 외환위기 이전 수준에 비해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여기에 대기업들의 ‘탈(脫)인천’ 바람은 지역경제 기반을 흔들었다. 대우종합기계㈜ 인천공장, 한국유리㈜, ㈜휴스틸(옛 신호스틸) 등 인천에 위치한 대기업들이 줄줄이 인천을 떠났거나 이전 계획을 발표했다.

대기업들의 자리 이동은 협력업체의 동반 이전과 도산 위기 확산으로 이어졌다. 지방자치단체의 세수입은 감소하고 실업자가 증가되면서 지역경제에 점차 악영향을 끼쳤다.

# 환황해권 중추 인천, 대기업 ‘러시’
2010년 포스코건설을 시작으로 2014년 청라 하나금융타운 설립까지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 인천으로 옮기고 있다. 대기업들의 인천 이전으로 기존에 형성된 기계산업 형태가 IT와 BT 등 최첨단산업으로 이동하고 있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이들 대기업의 인천 이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용 효과가 크다. 5만여 명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게다가 창출된 일자리 대부분이 고액 연봉 일자리로 질적인 면에서도 뛰어나다.

인천이 영세 제조산업에서 항공·IT·BT·로봇·전기자동차산업 등을 유치하면서 산업지형이 바뀌고 있다.

인천은 6천500개의 기업과 8만 명이 근무하고 있는 남동인더스파크(옛 남동산단)를 비롯해 목재사업·도금산업 등 주를 이뤘다. 이들은 대부분 영세 사업장으로 임금과 근로시간 등 근무조건이 열악한 산업들로 평가돼 왔다.

인천의 산업생태 변화는 국내 산업 변화에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나라를 이끈 산업지형이 이젠 인천으로 옮겨 시작되는 모양새다.

 국내 1세대 산업은 포항제철의 철강산업으로 농업사회를 공업사회로 이끌어 왔으며, 2세대 산업은 삼성이 수원시에서 반도체 신화를 쓰면서 정보화산업으로 이동했다. 이후 IT와 BT가 융합된 미래성장산업이 3세대 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거론되면서 인천이 그 중심에 있다.

여기에다 인천이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을 유치하면서 녹색산업은 박근혜정부의 창조경제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인천 발전이 대한민국 발전으로 이어지면서 인천이 차세대 산업의 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 인천의 전망
인천은 대한민국의 관문도시로서 지역 내에 세계적인 인천국제공항을 보유하고 있고, 거대 시장 중국을 이웃하고 있다는 지리적 이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최초의 경제자유구역을 보유, 자유로운 도시를 설계해 현재 세계 최고의 국제도시로 발돋움해 있다.

또 인천공항과 인천항, 송도신도시 등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한 ‘트라이포트계획’은 인천의 미래 발전

   
 
상으로 제시돼 있다.

우선 에어포트(Air-port) 인천공항 시설의 최종 처리 능력은 2020년께 완성될 예정이다. 여객 연 1억 명, 화물 연 700만t을 목표로 하고 있어 최종 단계까지 완성되면 지역경제에 가져올 시너지 효과는 엄청나다.

시포트(Sea-port) 인천항은 대중국과 인천공항과의 연계를 통해 멀티 허브형 항만을 계획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선적화물을 고부가가치 화물로 대체하는 방안 검토와 송도신도시 일부와 서·북부 매립지의 첨단산업과 연계성이 요구되고 있다.

송도국제도시는 정보화신도시(Tele-port)로 구상되고 있다. 환황해 시대의 국제 교역을 담당할 국제교역·금융·업무의 중추적 기능이 자리하게 될 예정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