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은 거의 모든 생물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생으로 깨어 있는 동안 느꼈던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하고 면역력을 재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모든 것을 내려놓는 수면의 순간에도 우리 뇌는 쉬지 않는다. 그 움직임은 꿈을 통해 나타난다.

분명 눈을 감은 무의식의 수면상태 속에서도 우리는 꿈을 꾸며 그 순간을 생생히 체험한다. 꿈속에서 보고, 만지고, 맛보고, 냄새 맡는 등의 모든 행동은 때로 실제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리고 알 수 없는 시공간과 사람들 속에 뒤섞여 있는 의문의 자신과 조우하기도 한다.

그러나 꿈속에 등장하는 모든 것들은 뇌에 저장된 기억의 조합으로, 단 한 번도 보거나 들어보지 못한 것이라면 등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가 꾸는 다양한 꿈이란 개인이 인지한 수많은 정보들의 재정리 과정이라 보는 시각도 있으며, 다른 한 편으로는 응축된 욕망 해소의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꿈을 꾼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복잡하게 얽혀 있던 정보들이 제자리를 찾으며, 낮에 우리를 괴롭혔던 많은 문제들을 극복하고 그 해결에 도움을 준다는 이론은 무척이나 흥미롭다. 오늘은 영화 ‘로마의 휴일’을 꿈의 기능으로 재해석해 보고자 한다.

왕실의 딱딱한 예법과 빡빡한 스케줄에 지친 앤 공주는 로마 방문 일정 중, 남몰래 대사관을 빠져나와 자유를 만끽한다. 그러나 졸음을 못 이긴 그녀는 공원 벤치에서 잠이 들고 만다.

반면, 앤 공주를 취재하러 온 기자 조 브래들리는 길거리에서 잠든 한 아가씨를 만나게 된다. 잠든 여인을 거리에 방치할 수 없었던 그는 숙녀에게 자신의 하숙집을 내어준다. 두 사람의 운명적인 만남은 그렇게 시작됐다.

다음 날, 앤 공주는 난생처음으로 자유시간을 갖게 되고 조 브래들리와 함께 로마 곳곳을 여행하며 즐거운 한때를 보낸다. 한편, 그저 잘 곳조차 없는 불쌍한 여인인 줄 알았던 사람이 앤 공주임을 알게 된 기자는 특종을 잡았다는 기쁨에 관광사진을 가장한 특종 사진들을 찍게 된다.

 그러나 순수한 앤 공주의 모습에 동화된 브래들리는 자신의 이기심을 접기로 한다. 비현실적으로 행복했던 하루 동안의 일탈을 뒤로한 채 앤 공주는 왕실로 복귀한다. 이후 기자회견장에서 재회한 두 사람은 애틋한 눈빛으로 서로의 행복을 빌어 준다.

영화 ‘로마의 휴일’은 앤 공주의 입장에서 보자면 그녀의 꿈을 형상화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빈틈없이 답답한 왕실 생활은 벗어나고픈 인생의 굴레였다. 언제나 탈출을 꿈꿨을 그녀는 꿈처럼 비현실적인 일탈을 현실에서 경험하게 된다.

비록 24시간의 짧은 한때였지만, 그 꿈의 실현은 앤 공주에게 현실의 스트레스를 극복할 힘을 줬다. 그리고 이는 작품을 접하는 관객에게도 비슷한 효과로 다가오게 된다.

감정 이입을 이끄는 영화의 짜임새는 보는 이들을 오드리 헵번의 천진한 모습과 동일 선상에 둬 시원한 해방감을 맛보게 한다. 이처럼 영화를 보며 체험하는 관객의 일탈감은 아름다운 로마의 풍광과 어우러져 더욱 극대화된다.

1953년 개봉된 영화 ‘로마의 휴일’은 당시 흥행 보증수표와 같았던 윌리엄 와일러 감독과 그레고리 팩 주연으로 개봉 전부터 화제를 모았던 작품이다.

그러나 개봉 이후 대중을 사로잡은 것은 여배우 오드리 헵번의 신선한 모습과 시선을 모으는 로마 관광명소의 풍경, 그리고 일탈의 쾌감을 주는 작품의 매력이 더 큰 인기 비결로 작용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