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석증 명의 전은주 교수

“이석증, 인공와우 등 이비인후과 질환 때문에 서울에 있는 종합병원을 찾으실 필요가 전혀 없어요. 인천지역 이비인후과 의료진은 감히 국내 최고 수준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석증 명의’ 전은주(45)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수차례나 강조한 말이다.

세계 3대 인명사전 중 하나인 ‘마르퀴스 후즈 후’ 2011년 등재, 2014년 발간된 책 「여의열전(女醫列傳)」이 꼽은 이석증 최고 전문의, 전문의 자격시험 전국 수석 등이 그를 수식하는 경력들이다.

어지럼증을 잡는 새 진단법 등을 개발해 학회 우수상을 최근 두 번 받은 그가 이석증에 대해 설명했다.

“귓속의 평형 기능을 담당하는 반고리관 근처에 이석(부스러기)이 잘못 떨어져 나오거나 달라붙으면 극심한 어지럼증이 생기는데 이것이 이석증”이라고 말했다. 쉽게 말해 특정 위치로 머리를 움직일 때 갑작스레 심한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또 그는 “대부분 질환에서 비슷한 어지럼증이 유발돼 원인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은 병”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석증을 발견하는 새로운 진단법을 개발한 것이 최근 학회에서 주목을 받았다”고 소개했다.

이런 노력 덕에 대한이과학회 등에서 강의를 펼치며 이석증 분야 최고 수준의 의학자로 평가받고 있지만 오히려 그는 손사래를 쳤다.

“사실 인천성모병원 이비인후과 의료진은 물론 인하대병원 김규성 교수님 등 정말 최고 실력을 자랑하는 선배 의사들이 인천에서 많이 활동하고 계세요.”

국내 46명의 대표 여의사를 소개한 「여의열전」에 나온 그에 대한 평대로다. 겸손했다. 「여의열전」은 그를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끊임없는 각고의 노력을 통해 새로운 이석증 개발법을 찾아내는 등 환자 치료에 최선을 다하는 명의, 전은주 교수.’

그는 인천 이비인후과 의료 발전을 위해 지역 의사들의 모임(IGR)을 연 4회 열고 매년 심포지엄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보 교환은 물론 선의의 경쟁을 위해서도 좋은 자리죠. 올해 심포지엄은 7월 18일 열려 열심히 준비하고 있습니다.”

-인공와우 이식이란.
▶달팽이관(와우) 질환으로 인해 소리를 전혀 듣지 못하는 고도 난청 환자에게 남아있는 청신경을 전기 자극함으로써 소리를 들을 수 있게 해주는 수술입니다.

-어떤 환자들에게 시행하나.
▶선천성 난청으로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유·소아(만 1세 이후부터 수술 시행 가능), 양측 귀에 고도의 난청이 있어 보청기를 착용해도 소리를 잘 듣지 못할 정도로 심각한 경우에 이식이 가능합니다.

단, 귀의 구조에 심한 이상이 없으며 기능을 하는 청신경이 있는 경우에 가능합니다.

-보청기와 인공와우는 무엇이 다른가
▶심한 감각신경성 난청자는 최신 보청기를 사용하더라도 마치 채널을 잘못 맞춘 라디오를 크게 듣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들을 수는 있지만 소리가 깨지면서 말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보청기는 소리를 증폭할 뿐이지 선명하게 만들지는 않습니다.

이에 비해 인공와우는 보청기와 달리 단순히 소리를 증폭시키지 않고 전기 자극을 통해 내이(內耳)의 자연적인 청각 기능을 모방합니다. 들어오는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직접 청신경으로 전달함으로써 고도 난청인 사람도 보청기 착용 때보다 선명하고 부드러운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수술 및 치료는.
▶수술과 입원 기간까지 합쳐 7일 정도 필요합니다. 물론 상태에 따라 입원 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 수술 후 환자마다 적절한 자극 수치를 결정하기 위한 인공와우 조율 기간이 필요합니다.

성인은 보통 6개월에서 1년, 소아인 경우에는 1년에서 2년까지 걸립니다. 또 언어치료를 병행하는데 이는 인공와우 이식의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