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와의 전쟁 속 최일선에서 사투를 벌이고 있는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의 역할과 중요성이 최근 다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실험 공간이 부족해 일부 직원이 청사 밖 사무실을 빌려 사용하는 등 도 보건연의 연구 환경은 열악하기만 하다.

28일 도 보건연에 따르면 도 보건연은 지난달 31일부터 연구사 15명을 투입, 3교대로 24시간 메르스 확진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 27일 기준으로 모두 777건의 검사를 마쳤으며, 현재 5건의 검사가 진행 중이다.
연구사들은 감염 우려가 높은 생물안전 실험실에서 메르스 의심 환자들에게서 추출한 하루 25~30개의 검체를 검사하며 매일 밤낮으로 격무에 시달리고 있다.

이들을 위해 경기도뿐만 아니라 정부도 지원에 나서고 있다.

도는 예비비를 활용, 연구사들을 위한 간이침대를 설치하고 보호복 등의 방역소독 물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 17일에는 남경필 경기지사가 격려차 직접 방문해 평택산 농산물을 선물하기도 했다. 행정자치부에서도 이들을 위해 격려금을 지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도 보건연은 인력부족 등 연구 환경의 열악한 상황을 겪고 있다.

우선 인력 규모부터 타 지자체와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실제 서울 보건연의 경우, 연구사와 연구관, 행정직 등을 포함해 모두 277명이 근무하고 있지만, 이에 비해 도 보건연 본원의 인원은 161명에 불과하다. 북부지원 인력 38명을 포함해도 200명이 채 되지 않는다.

청사 규모도 마찬가지다. 수원시 파장동에 위치한 도 보건연 청사는 건축면적 5천932㎡ 규모로, 서울 보건연 2만5천454㎡의 25%에 불과하다. 용적률도 꽉 차 더는 실험 공간을 늘릴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지난해 3월부터는 보건연구부, 수질연구부, 대기연구부 등 각 부서 부장 3명이 실험 공간 마련을 위해 청사에서 나와 경기도인재개발원 사무실 한편을 빌려 공동사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부서 수장들이 도 보건연 청사와 인재원을 왔다갔다하는 비효율적인 행정마저 이뤄지고 있다.

상황이 이렇자 도 보건연 내부에서도 메르스 사태를 의식한 반짝 지원보다는 도 차원의 근본적인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도 보건연 관계자는 “정확한 실험 결과를 위해서는 실험 시설과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며 “경기도 인구에 걸맞은 인력·장비 등의 인프라가 구축돼야만 메르스와 같은 감염병 사태 예방도 제대로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