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호.jpg
▲ 김명호 경기도 기획조정실 평가기획팀장
뛰어난 과학기술자는 만 명을 먹여 살릴 수 있지만 뛰어난 기술은 한 세대를 먹여 살릴 수 있다는 말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80년대 전자산업이 그랬었고, 반도체산업이 그러했기 때문에 이를 상기해 보면 이해가 쉽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왜 문화콘텐츠산업인가 하는 점에서부터 접근해야 조금씩 실마리가 풀릴 듯도 하다. 21세기 무한경쟁의 시대에 문화콘텐츠산업이 전략산업으로 분명해 보이는 이유로 우선, 시장 규모와 관련 산업의 크기를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문화콘텐츠 산업분야 중 한 분야인 캐릭터산업을 예로 들어보면 1천430억 달러의 세계시장 규모에 비해 같은 시기 반도체시장 규모는 1천422억 달러 규모에 불과하다는 것을 수치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듯 문화콘텐츠산업의 규모와 비중은 점점 확대되고 있고 성장속도도 매우 빨라지고 있다. 세계문화산업의 연평균 성장률도 5.2% 정도로, 전체 산업의 경제 성장률 3.2%를 훨씬 앞서 나가고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고부가가치 산업 즉, 매출대비 이익률이 높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High Risk, High Return)’ 방식의 지식기반 산업이라는 점이다. 게임업체의 수익률은 자동차나 전자산업을 앞지르고 있으며, 수익률을 보더라도 엔씨소프트는 34.3%, 네이버(주)는 38.6% 인데 이 수치는 같은 해 국내 H자동차의 수익률 5%, S전자의 수익률 17.4%를 능가 하고 있는 수준이라는 점이다.

세 번째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이라는 점이고 특히 유통과정에서 윈도우 효과가 높다는 점이다. 윈도우 효과란 기술적 변화를 거쳐 생산·유통되면서 새로운 수요를 계속 창출해 추가적 이익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가령 만화 한편이 애니메이션, 게임, 캐릭터로 이어지면서 계속적인 이익을 창출한다면 이것이 윈도우 효과에 해당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이다. ‘원 소스 멀티 유스(one-source multi-use)’ 전략이 강조되는 것도 문화콘텐츠산업의 이런 속성 때문일 것이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윈도우 효과가 큰 것은 물론이고 문화적인 파급효과도 커 경제적 이익뿐 아니라 문화적 효과까지 안겨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해외시장 진출이 상대적으로 용이해 미래의 수출역군이 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특히 수출이 산업구조에 있어서 결정적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더욱 그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국가와 민족 간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 지고 있다. 경쟁 사회에서는 ‘적자생존과 약육강식의 법칙’이 작용되기 마련이며, 자본주의는 정글의 법칙이 지배하는 냉혹한 경제메커니즘이고, 그 속에서 경쟁력은 존재가치와 미래존립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인자인 것이다.

 국경 없는 무한경쟁시대에 국가경쟁력을 높이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의 원칙’이 필요한데, 이는 ‘저비용 고효율’을 가져오는 합리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발전과 대중화는 서로 다른, 어찌보면 상반되는 측면이 있다. 가령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우수한 과학기술인력을 양성해야 하고 과학영재들을 선발해 집중적으로 교육시켜야 하겠지만, 과학 대중화를 위해서는 과학의 생활화, 생활 속의 과학문화 확산도 중요하다는 의미와 상통하는 대목이다.

 과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핵심인력의 양성과 기술 개발이 선행 되어야할 것이고, 그 결실을 대중적으로 공유하기 위해서는 과학대중화가 절실히 요구 되고 있기 때문에 그래서 더욱 ‘선택과 집중‘이 필요할진대, 문화발전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선택과 집중을 추진함에 따르는 주요 문제는 무엇을 선택하고 무엇에 집중할 것인가 하는 점일 것이다. 비단 과학기술 분야가 아니더라도, 국가기간 산업의 선정이나 정책의 우선순위, 또는 경중을 가릴 때 등 이 원칙은 똑같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부가가치의 원천인 문화콘텐츠산업은 정부가 선택적으로 집중 지원해 나가야 하는 부분이다. 30년 후 아니 먼 훗날 미래세대 우리민족의 광주리를 채워줄 문화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적인 로드맵 수립, 강력한 엔진장착과 드라이버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사항인 것이며, ‘선택과 집중’의 원칙도 합리적으로 지켜져야 할 것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