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인천시와 미래창조과학부는 ‘인천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을 개최했다. ‘동북아 물류중심지 인천! 스마트 물류로 창조경제의 튼튼한 날개가 되겠습니다’란 비전아래 ▶스마트 물류의 거점 ▶중소·벤처기업 수출물류 경쟁력 제고 ▶한·중 스타트업 교류협력 플랫폼 구축 등 중점 추진전략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축사에서 "인천의 우수한 인프라 기반과 지리적 강점, 글로벌 물류기업인 한진그룹의 역량을 잘 결합시켜서 우리 중소·벤처기업이 세계로 진출하는 전진기지가 돼 주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지역사회가 이번 혁신센터 출범에 주목하는 것은 그간 인천국제공항이 국토교통부의 항공 MRO(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 수리·정비)산업 육성정책에서 배재된 게 아니냐는 의혹 때문이다.

 MRO산업은 항공운송산업의 안전성 확보에 필수적인데다가 공항 경쟁력과 직결된다. 하지만 세계적 경쟁력을 갖췄다는 인천공항은 정부의 ‘지방공항 활성화’ 정책 때문인지 처음부터 육성 대상이 아니었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항공기 정비 불량으로 인한 인천공항의 결항률이 가파르게 증가했다. 게다가 공항에 들어설 ‘저가항공(LCC) 전용 정비고’ 건립 사업마저도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가 방해했다는 논란까지 일었다. 다행히도 인천 혁신센터의 연계 대기업과 전략분야가 한진 및 항공이다. 혁신센터가 박근혜 정부의 핵심 경제정책이니만큼 과감한 정책전환을 기대해본다.

 올해 초 국토교통부는 ‘항공정비산업(MRO) 육성방안’을 전격 발표했다. ‘중장기적으로 1.3조원 수입대체 및 일자리 8천개 창출’을 목표로 내세웠다.

 ‘先 수입대체효과 극대화 後 수출전략 산업화’를 위해 ▶자립기반 확충(1단계) ▶엔진·부품 등 핵심MRO 육성(2단계) ▶해외시장 진출(3단계) 등 단계별 발전전략도 추진하기로 했다.

 그도 그럴 것이 현재 정비시설 및 기술부족으로 약 53%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저가항공의 경우 시설부족으로 동절기에도 옥외에서 운항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문병호 국회의원이 공개한 ‘최근 5년간 인천공항에서 발생한 국내선, 국제선 지연 및 결항 현황’에도 그 심각성이 고스란히 나타난다. 이에 정부는 우선 저가항공사 및 경항공기 기체정비 시설 확충 등을 통해 항공 안전성 지원에 나선다는 거다.

 이어 고부가가치 엔진·부품 전문 MRO 육성 및 MRO산업 클러스터화를 지원하고 그 다음단계로 MRO패키지 수출 등 해외시장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하지만 인천국제공항에겐 그림의 떡이다. 입주의향을 밝힌 전문항공정비기업(JSA)이 저가항공 정비고(격납고) 기공식을 갖기까지 참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기에 그렇다. 시는 그래도 첫 삽을 떴으니 이참에 중형항공기 정비 및 엔진·부품 MRO 육성 등으로 연계 발전시키려하지만 국토교통부 반응은 여전히 냉랭하다.

 청주와 사천이 벌이는 MRO 산업단지 유치전에 뛰어들었다가 제동이 걸린 인천은 전문기업 진출만이라도 허용하는 MRO특화단지 개발계획 등 자체 육성방안을 내놓고, 읍소하고 있다. 정비면허, 실시설계, 부지임대 등의 권한이 국토교통부에 있기 때문이다.

 인천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도 엄존한다. 인천국제공항의 도시명이 정부공식간행물인 ‘항공정보간행물(AIP : Aeronautical Information publication)에 서울로 표기돼있다. UN산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등 전 세계로 발간된다.

 게다가 시가 상생발전과 인천공항 물류단지 확장의 필요성 때문에 현물출자에 나섰지만 정부는 지금도 인천시의 인천공항 지분참여에 부정적이다.

 그러나 인천 혁신센터 출범으로 정책전환의 기회가 왔다. MRO산업이 정부 스스로도 신성장동력이라 칭하면서 인천만 홀대해서야 되겠는가. 이제 정치적으로 분리당한 외딴섬 인천공항을 진정한 인천시민의 공항으로 만들기 위한 첫발을 내딛을 때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