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한 서예가가 30년간의 노력으로 모은 수많은 비첩(碑帖·비석에 새긴 글자)들이 책으로 최근 출간돼 화제다.

바로 인천서예가협회 회원인 고은 지성룡(67) 선생이 펴낸 「비첩금낭(碑帖錦囊)」으로, 중국 고대국가 은나라 때부터 당나라 말기까지 3천여 년 동안의 235개 비문 자료를 구하고 해석해 총 4권, 3천여 쪽에 달하는 분량을 자랑한다. 무려 1만6천 개에 달하는 좋은 글을 담아냈다.

이 책은 국내 500만여 명에 달하는 서예인들의 고민을 한 번에 해결한 보고(寶庫)란 평가를 받으며 국내 서예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모범 서체와 글감에 대한 욕심이 많은 서예인들은 사실 ‘좋은 서체’와 ‘좋은 문장’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 지 선생이 펴낸 「비첩금낭」은 서예인들의 한 가지 고민을 더 풀어냈다. 좋은 한문 글감의 뜻을 모르고 먹을 가는 서예인들이 많기 때문이다. 수록된 모든 한문 비첩이 전부 해석된 「비첩금낭」은 이러한 고민을 한꺼번에 날린 책으로, 벌써부터 도대체 이런 일을 추진한 사람이 누구냐는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지금껏 한문학자도 감히 손을 못 댄, 동양 삼국에 아직까지 없었던 책"이라는 서예가인 구당 여원구 선생의 평가와 함께 입소문이 나면서 벌써 가격 30만 원의 초판 인쇄 150질이 동났다. 또한 국내 유명 서예전문 잡지에 지난 6월호부터 3년간 연재가 계약된 상태다.

하지만 지성룡 선생의 이름을 모르는 국내 서예인은 많다. 인천에서도 ‘얼굴 없는 명사’ 정도로 알려져 있다.

서적판매업 사업을 접고 서예계로 뛰어든 그가 책 집필을 최근 끝내게 된 데에는 결정적인 이유가 있었다. 2012년 2월 대장·위암 수술을 일산 국립암센터에서 동시에 받으며 "아, 어렵게 모은 자료들을 펴내지도 못하고 삶을 끝내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수술을 마치자마자 착수해 2년간의 집필 작업 끝에 책이 나왔다.

최근 찾는 이가 많지만 이제 칠십을 바라보는 서예가로서의 삶은 순탄치 않았다. ‘서예(書藝)’를 예술로만 보는 국내 주류 흐름과 달리 예술과 학문이 결합된 ‘서법(書法)’ 또는 ‘서학(書學)’을 줄곧 쫓아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 선생의 실력을 알고 있는 주위 사람들이 재촉해 지난 20일 인천 계양구청 아트갤러리에서 그의 작품 전시회가 열렸다. 그의 생애 첫 번째 개인전이다.

인터뷰 말미에 30년 역작 「비첩금낭」에 있는 가장 좋은 글 하나를 추천해달라고 부탁했다. 바로 중국 한나라(117년) 「사삼공산비」에 나온 ‘곡두삼전(穀斗三錢)’ 글귀를 들었다.

"알 수 없는 지은이가 나라가 평온하길 바라며 쓴 글이에요. 직역하면 ‘쌀 한 말에 삼 전’이라는 뜻인데, ‘나라가 평안하면 물가도 싸고 국민이 살기 좋다’라는 의미죠. 우리나라도 항상 그러하길 바라는 마음뿐입니다."

김경일 기자 ki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