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실용화 사업 기간이 내년 4월까지 연장된다. 시민 안전을 강조한 인천시의 요구가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해외 수출까지 염두에 둔 자기부상열차 개발사업은 7번이나 연장되는 ‘수모’를 당하게 됐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하 진흥원)은 시스템 장애 개선과 행정 절차 이행을 위해 내년 4월까지 사업 기간을 연장했다고 31일 밝혔다.

진흥원 등 개발을 담당한 사업단 측이 직전 사업 기간인 지난 6월 "모든 개발 사업을 완료했다"는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것이다. 명분은 이용객 안전이다.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는 그동안 열차가 주저앉는 ‘차량 부상착지 현상’과 ‘정위치 정차’, ‘전원 공급 차단’ 등에서 심각한 문제를 보여 사업 기간 연장이 불가피했다. 이에 따라 운영기관인 인천시는 이용객 안전이 보장될 수 있도록 보완을 위해 올해 12월까지 기간 연장을 요구한 바 있다.

이후 운영기관과 사업단은 지난 7월 29~30일 양 일간 회의를 갖고, 최종적으로 내년 4월까지 연장에 합의했다.

이 같은 기간 연장은 애초 인천시가 요청한 올해 12월보다 더 늘어났다.

당시 협의회에서 사업단 측은 전원 공급 차단과 차량 부상착지 등 각종 시스템 장애 요인을 11월 30일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그러면서 문제에 대해서는 확약을 통해 개발을 담당한 기관에서 보완을 해주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개발은 ‘현대로템’에서 담당했다.

이같이 시스템 장애가 해결되면 올해 안으로 개통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진흥원 관계자는 "지금 개통해도 문제가 없지만, 운영기관 요구와 개통을 위한 행정 절차 이행을 위해 기간을 연장했다"며 "미흡한 부분은 확약을 통해 보완 조치를 마련해 빠르면 올해 안에도 개통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여전히 문제는 남아 있다. 부품 조달이다. 기존 철도 부품 시장에는 유지 보수에 필요한 부품이 없다. 이는 개발 당시 예상하지 못했던 변수다.

애초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는 대전도시철도 2호선과 해외 수출로 상용화까지는 문제가 없어 보였다. 부품 조달도 손쉬울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승객 안전문제로 7번 사업 기간이 연장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대전시는 자기부상열차에서 ‘노면 트램’으로 사업계획을 변경했고, 해외 바이어들의 발길도 끊겨 수출도 장담하기 어렵게 됐다. 이 때문에 철도전문가들은 자기부상열차 개발사업에 여전히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지역의 한 철도 전문가는 "원천기술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상용화가 되지 못하면 개발의 의미가 없다"며 "부품 조달도 되지 않는 신기술을 어디 써먹을 수 있겠느냐"고 인천공항 자기부상열차 개통 이후를 걱정했다.

안재균 기자 a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