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정치 역정 최대의 위기 상황으로 내몰리며 ‘벼랑 끝’에 섰다.

 2·8 전당대회 이후 한때 차기 대권 지지율 30%를 넘어서며 ‘1위 대선주자’로 도약했지만 4·29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불거진 당내 갈등을 해소하지 못한 채 내리막길에 들어서며 스스로 국민과 당원을 상대로 재신임을 물어야 할 풍전등화 지경에 이르렀다.

 특히 최근 혁신안 처리문제를 놓고 비주류, 반문(반문재인) 세력의 거센 공격에 시달리자 대표직을 건 재신임 카드를 극약처방으로 던졌지만 반문 진영이 ‘조기 전당대회’를 들고 나오는 등 국면은 더욱 꼬이기만 하고 있다.

 더욱이 오영식·유승희 최고위원이 분열만 가중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내세워 재신임 투표 연기 또는 보류를 요청하는 등 반전의 카드라고 여겼던 재신임 투표조차 지도부 내 의견이 엇갈렸다.

 이번 논란은 당내 상황을 바라보는 문 대표의 인식을 여실히 드러냈다는 평가다.

 상당수 인사들이 문 대표의 리더십을 우려하면서 내년 총선 전망에 대해 비관적인 목소리를 냈음에도 문 대표는 이를 비주류 소수의 ‘지도부 흔들기’로 규정해 인식차를 분명히 했다.

 이런 상황이 누적되면서 당내 현안에 가능하면 입을 닫았던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문 대표 비판의 최전선에 선 것은 물론, 범친노이자 우호세력으로 분류되던 정세균 상임고문까지 지도자급 인사가 모두 참석하는 연석회의를 통해 문 대표의 거취까지 논의할 수 있다는 식으로 돌아섰다.

 수차례 도마 위에 오른 소통 부재, 비선 논란도 반복됐다. 문 대표는 4·29 재보선 참패 이후 지도부와 조율없이 대국민 사과, 호남 방문 카드를 던지는 바람에 지도부 내에서조차 불협화음을 자초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럼에도 문 대표의 리더십 위기는 새정치연합의 고질적 병폐인 계파주의, 분파주의가 근본적 원인이라는 지적 또한 만만치 않다.

 2004년 노무현 정부의 열린우리당 출범 이후 제 임기를 마친 당 대표가 손에 꼽을 정도이다 보니 비상대책위원회라는 비정상적 구조가 당의 일상화된 모습으로 자리잡을 만큼 허약한 체질과 지리멸렬함을 여실히 드러내왔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당내에서는 아무리 강력한 지도자가 대표를 맡더라도 현재 야당에서는 배겨낼 수 없을 것이라는 자조까지 나오는 지경이다.

강봉석 기자 kbs@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