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도 신세계 쇼핑몰 조감도.
▲ 송도 신세계 쇼핑몰 조감도.
2014년 1월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하·인천경제청)의 제안으로 시작된 신세계 ‘송도 도심형 복합쇼핑몰’ 사업이 드디어 첫 발을 내디뎠다.

하지만 투자 유치 과정에서 인천시 자체 감사로 투자협약을 체결하고도, 협의가 약 10개월 동안 중단되는 등 우여곡절이 많아 매끄럽지 않은 선례를 남겼다.

# 추진 과정

인천시 23일 ㈜인천신세계와 ‘송도 신세계 도심형 복합쇼핑몰 건립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신세계 그룹은 싱가포르 투자청이 참여하는 해외 자본 등 총 5천억 원 규모의 자금을 투자해 송도국제도시(4공구) 내 5만9천600㎡의 상업용지에 오는 2019년까지 백화점, 대형마트, 오락, 문화 콘텐츠를 갖춘 라이프 스타일 복합쇼핑몰을 짓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신세계의 이번 투자협약으로 송도국제도시는 국내 ‘유통 공룡’들의 전쟁터가 됐다.

신세계의 송도 진출 협의는 인천경제청의 제안으로 지난 해 1월부터 이뤄졌다. 신세계는 당시 남동구 구월동 인천종합터미널 내 매장을 둘러싼 롯데와의 전쟁 후 대안을 찾고 있었다. 시중에선 "연수구 ‘스퀘어 원’을 매입한다. 송도에 새로운 부지를 찾고 있다"는 풍문이 인천경제청과의 협의 이전부터 나돌았다. 결국 신세계는 송도 땅을 낙점했다. 이 때부터 인천경제청과 신세계 간에 해당 사업지에 대한 땅값 협의가 진행됐다. 이후 지난해 12월 3일 인천시와 인천경제청, 신세계, 인천도시공사 간에 투자협약이 체결됐다. 땅값은 3.3㎡ 당 850만 원으로, 총 매각 금액은 1천210억 원이다.

그러나 상황은 급변했다. 인천시 감사관실의 개입이다. 자체 감사를 통해 신세계에 넘기기로 한 사업 부지 땅값이 턱없이 낮다고 판단했다.

해당 부지에 대한 감정평가를 다시 하고, 공유재산관리법을 적용해 땅을 팔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업무를 추진한 인천경제청 직원들에게 ‘징계 조치’ 처분을 하기도 했다. 상황이 이렇게 전개되면서 1차 협약 체결 이후 협의 추진은 중단됐다. 신세계의 움직임도 달라졌다. 감사 추이를 지켜보면서 외국인 투자 법인을 만들기 시작했다. ㈜인천신세계가 그렇다. 이 법인은 지난 1월 29일 외투 기업으로 등록했다. ㈜인천신세계의 최종 자본금은 2천500억 원이다.

이 중 10%는 싱가포르 투자청이 만든 국부펀드 ‘GIC’가 참여하기로 했다. GIC는 우선 1억 원을 투자했으며, 최종적으로는 250억 원까지 투입하기로 했다. 땅값의 변화도 생겼다. 협의가 중단된 이후 지난 7월 초 인천경제청은 신세계에 다시 접촉한다. 여건 변화가 생겼으니, 외투 법인 ㈜인천신세계를 내세워 협의를 재개하자고 제안했다. 사업지 땅값도 감정평가(3.3㎡ 당 1천71만 원) 금액과 기존 협약 금액의 중간치(3.3㎡ 960만 원·총 토지가격 1천365억 원)로 결정해서 논의하자는 뜻을 전했다. 신세계는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부터 인천경제청과 신세계의 협의는 속도를 냈고, 이날 기존 협약을 변경한 신규 투자협약을 체결하게 됐다.

# 향후 계획

신세계는 사업 부지에 대한 개발 및 실시계획 변경, 토지매매계약을 다음 달 중으로 하겠다는 입장이다. 이후 내년 상반기 개발 및 실시계획 변경 승인과 공사 착공을 통해 오는 2019년 상반기에 도심형 복합쇼핑몰을 준공하겠다는 계획을 내비쳤다. 하지만 업계에선 오는 2020년이 넘을 것으로 내다봤다.

신세계의 마스터 플랜이 구체화 되지 않은 데다 현재 송도국제도시의 인구가 10만 명을 넘지 않는 상황에서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되긴 힘들지 않겠느냐는 시각이다. 업계에선 도심형 복합쇼핑몰이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선 송도 인구가 최소한 16만 명이 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신세계 한 관계자는 "오는 2025년 이후 송도는 ‘인천의 강남’으로 부상할 것이 분명하다"며 "이번 투자는 장기적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전했다.

인치동 기자 airin@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