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실 대한결핵협회인천지부장.jpg
▲ 김실 대한결핵협회인천지부장
매년 필자와 관련된 단체 행사에 참여해 같이 동행하다 보면 행사단체별로 이곳저곳 많은 지역을 답사하게 된다.

 좁은 골목길, 덕지덕지 손 때 뭍은 담벼락, 그리고 사람냄새 나는 나즈막한 지붕들에서 이어진 옛 정취 등으로 살아 움직이는 대상지역 구시가지로부터 감흥에 젖는 경우도 있다.

 지역의 역사성은 그 지역 생긴 모양과 기운, 그리고 그 속에서 정붙이고 살아가는 사람들과의 문화적 정서가 쌓이면서 지리적 사고와 감각으로 이룬 삶의 문화적 차이와 형태를 드러내놓고 있다.

 그러나 오늘의 인천은 급격한 현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특히 지역개발을 앞세운 지역 정치인의 좀 더 커다란 미래 발전상을 보지 않은 난개발로 인해 그렇게 정겨운 옛 모습은 하나둘 자취 없이 사라져버렸다.

 오늘날 변화된 인천의 구도심지역 풍경은 외형적으로 무미건조하고 개성이 사라진 채 고만고만하게 치솟아 높아지는 건물로 삭막함이 자리를 잡고 있다.

 신시가지가 발전하고 있지만 도시발전의 시발지인 구도심이 있어야 할 제자리는 현재 세계 속에서 인천이 지녀야 할 옛 멋과 지리적 풍물이 담겨있는 기반시설에 대신하여 낯설고 거창하게 높아진 건축물이 어울리지 않게 들어서고 있다.

 인천 구 시가지를 지탱했던 문화적 전통에 뿌리를 둔 소프트웨어의 질량을 살릴 수 있는 아쉬움이 떠올리게 하고 있다. 그래서 지금 그나마 전통적 인천 냄새나는 풍경과 흔적이 붙여있는 지역이나 건물을 보존하는데 역량을 모아야 한다.

 지역마다 옛날부터 이어오던 근대 건축물이나 문화의 원형을 찾아내어 다시 일으켜 세우고 필요에 따라 현대적 시각과 미감에 맞춰 재창조하는 문화재 작업을, 도시 발전을 위한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정겨운 이름 속에 늘 가슴속에 숨쉬고 있는 인천의 지역마다 있는 지역명칭인 긴담모퉁이, 싸리재, 화도고개, 수문통, 채미전거리, 안송림, 독갑다리, 원통이고개, 율목풀장, 송도유원지, 독쟁이, 괭이부리, 동양장 사거리, 배다리 등이 점차 이름조차 없어지고 흔적조차 지워지는 아쉬움만 더하고 있다.

 그런데도 아직도 오래되고 낡은 것이라면 무조건 버려야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유명한 건축가가 ‘옛 건물 그리고 지역을 나타내고 내려오는 특징있는 이름을 지우는 것은 짧은 시간 내에 다시 만들 수 없는 시간을 지우는 일’이라고 했다. 그렇지만 인천의 구시가지는 그 자체로 아름다운 역사의 흔적이 베어 있고 시민에게 시민으로서의 인천역사에 대한 자부심을 불러 일으키는 곳이다.

 현재 인천에는 인천이 시작되면서 있어 왔던 건물, 토목 시설이 몇 개 남아 있지 않은데도 지역개발이라는 이름으로 하나씩 밀어내고 있다.

  한때 배다리엔 전통 옛날 책방 모습을 지니고 책을 파는 고서점이 꽤 여럿 있었다. 옛날 책방이 주는 깊이 있는 풍경으로 찾아가게 되고 인천의 문화적인 거리를 그려주던 나름대로의 멋진 거리였다. 하인천역(지금의 인천역)에서 만국공원(현, 자유공원)으로 오르면서 고소하게 구워 먹던 밴댕이집은 자취조차 없어지고, 옛 학생들의 로맨스가 서려있던 율목동 뒷골목의 인도도나스 집이 그리울 때도 있다.

  사람을 이끄는 것은 화려한 네온에 높게 솟은 건축물이 아니라 자신이 스스럼없이 그 도시의 일부가 되고 싶을 정도로 매력적인 역사와 스토리텔링이 우러나고 멋이 담겨져 있어야 한다.

  세월의 이끼가 켜켜이 내려앉은 구도심과 더불어 새로운 신도시가 함께 할 수 있는 조화로운 도시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여 도시민에게 추억을 주고 삶의 다양성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도시가 시민에게 문화에 대한 깊이를 넓혀나갈 수 있는 길은 시간의 무게에서 시작한다. 도시에서 역사와 전통이 숨쉬는 환경은 인천이 세계적인 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