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조대흥.jpg
▲ 조대흥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 교수
원도심 문제가 인천의 새로운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1883년 개항 이후 근대화·산업화 및 문화의 선도 도시로서 IFEZ(경제자유구역) 발전의 원동력이었던 원도심은 인천시 인구와 면적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인천경제자유구역, 논현·검단신도시, 청라 등은 급속한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반해 열악한 주거환경, 낙후된 도시기반기설로 인해 양극화가 새로운 도시문제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노후하고 열악한 주거환경의 개선을 위해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원도심 전역에서 추진됐으나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사업성 악화로 사업 추진이 정체되는 정비구역이 늘어나고, 주민들 간의 복잡한 이해관계 및 반목 현상으로 주민공동체가 와해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원도심 주민의 70% 이상이 노년층으로, 향후 인구고령화에 따른 원도심 노인복지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들은 세대·계층 간 교류 단절로 나타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기 때문이다.

 원도심 환경의 물리적 제한으로 노인들의 참여 및 접근의 제한이 생기고 있다. 문화·환경·정보·복지 등이다. 이는 곧바로 자원 부족의 문제, 보장의 불안, 주민 의식 결여 등 지역사회에서 배제·소외·주변화로 바로 연결되고 있는 실정이다.

 사회동향보고서(2014) 자료에 따르면 우리 사회 노인 4명 중 1명이 사회적으로 고립돼 있다고 발표했다. 노인의 자살률도 해마다 높아지고 있어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이다. 20년간 인천시의 중·노년층 인구는 계속 증가할 것이다. 이는 복지비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으로 노동력이 없는 노인과 경제력을 부담해야 하는 젊은이들과의 갈등은 점차 커져 가고, 결국 세대 간 정책 격차도 늘어나 노인 세대와 젊은 세대의 갈등으로 나타날 것이다.

 이제 심각한 고령화로 인한 세대 간 갈등의 문제는 어느 특정 집단만의 문제가 아닌,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회문제이다.

 과거 대가족 제도 아래서는 가정에서 노인과 어린 세대가 자연스럽게 접촉이 가능했지만, 현대사회의 가족 형태는 성숙화 사회로 가족해체가 이뤄져 노인과 젊은 세대가 접촉할 기회를 잃어버렸다.

 또한 급속한 산업화와 현대화를 겪으면서 상대적으로 변화속도가 느린 농경문화 속에서 성장한 지금의 노인 세대와 순간의 정보에 가치를 두는 젊은 세대 간의 현격한 가치관 차이로 갈등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특히 원도심에 남아 있는 노인 세대와 사회적 약자들은 낙후된 도시기반시설로 인해 주변 환경과 단절됨으로써 심각한 인권침해를 받고 있는 실정이다. 즉, 불균형 발전으로 심리적 괴리감과 상실감이 증가하고 있다. 이제는 지역주민이 연령과 세대를 초월해 접촉하고 교류하는 과정으로 소통과 공감대를 형성하고 서로의 지원을 나눔으로써 함께 성장하고 발전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발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우리 사회가 함께 만들어 가야 할 철학들이 있다. 첫째, 원도심 주민의 사회정의 존중과 증진이다. 둘째, 주민의 자력화(empowerment)와 민주적 주인의식이다. 셋째, 원도심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증진이다. 넷째, 긍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변화 실현을 위한 헌신이다. 마지막으로 지식 창출 및 공유와 상호 학습 추구이다.

 이러한 원칙을 갖고 원도심을 중심으로 노인과 아동 및 청소년들이 함께 어울리는 세대 공동체 간의 교류장소를 만들 필요가 있다.

그곳에서 원도심 주민들의 욕구와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 적용하고 확대하는 가칭 ‘원도심 생활형플랫폼’을 찾아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인천시는 전국 최초로 ‘마을주택관리소’ 5개소를 지정해 시범사업 운영 중에 있다. 이 정책사업이 세대 간 교류를 지원하는 플랫폼으로서 활용되길 기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