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의 생활권 녹지가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한 조사 발표는 환경 문제가 어느 때보다 심각하게 다뤄지고 있는 오늘날 시급히 해결할 부끄러운 숙제다. 이는 산지형태로 분포된 녹지를 제외하고 인천시민들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에 조성된 생활권 녹지는 10%미만에 불과하다보니 삭막한 콘크리트로 도심이 열섬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한 보도는 경제자유구역으로 첫발을 내딛는 인천의 이미지를 먹칠한 수치이기도 하다.
 
어제부터 인천 권역별로 진행되는 최고품질도시를 위한 종합토론회에 앞서 서울시립대 건축도시조경학부의 한 교수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도시 인천시'라는 주제 발표문에서 인천의 임야면적 비율은 전체토지의 43%로 매우 높은 편이지만 도서지역인 용유, 영종, 강화, 옹진군의 면적을 제외한 육상부의 녹지 면적은 23%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고 한다. 그러나 이 같은 녹지면적도 도심외곽부에 산지형태의 자연녹지로 이루고 있을 뿐 시민들의 일상 생활거주 권역인 업무지역과 공업지역 주택지역 등의 육상부 생활녹지는 10%에도 못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결국 나머지 90% 이상의 공지면적은 발열물질인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로 포장된 지역이어서 도심열섬화의 원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은 인천시민이 얼마나 열악한 생활환경을 안고 살아가고 있는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어서 부끄럽다. 이는 인천시가 그 동안 산업화 발전이라는 편협된 정책 일변도에 치중한 나머지 삶의 질 향상이라는 환경부문을 등한시 함으로써 녹지공간의 태부족 현상을 야기시킨 결과라는데 심히 유감스러움을 금치 못한다. 실제로 중구의 임야면적 비율은 36%지만 섬지역인 용유도, 무의도, 영종도를 제외하면 도심 육상부의 면적은 3%에 그치고 있고 동구는 0.9%, 남구 9.7%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중구와 동구는 더 이상 조성할 녹지가 없다고 하니 당초 인천시도시기본계획이 녹지조성공간을 외면한 채 주거밀집화와 콘크리트 문화에 앞장서온 실책에 대해 변명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환경친화는 복잡다양한 산업사회에서 무엇보다 최우선으로 추구돼야 할 정책의 주요과제다. 더욱이 인천이 경제자유구역 건설을 계기로 환경친화적인 도시로 탈바꿈하기 위한 장·단기 계획을 수립, 녹지조성사업 등을 추진해야 할 당위성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그래서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300만그루 나무심기계획외에도 다양한 공원 프로그램 제공, 옥상 및 벽면녹화 등 폭넓은 환경녹지정책의 실현을 촉구하는 바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