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홍성표 양주시의회 의원
우리나라가 근대화에 접어들면서 많은 변화가 시작됐다. 그 중 하나가 교통편일 것이다.

 교통편이 발달하기 전 우리의 먹거리는 자급자족 형태로 내가 농사 지어 먹고 앞집·뒷집의 농산물을 나누며 살았다.

산골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생선 구경하기가 힘들었고,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은 산골 음식을 접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하지만 교통편이 발달하면서 지금은 오늘 잡고 수확한 농수산물을 전국 어디서나 맛볼 수 있는 그런 시대가 됐다.

 이와 함께 농산물에 대한 문호가 개방되면서 외국의 많은 농산물들이 우리의 식탁 위에 오르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우리의 농산물을 비롯한 수입농산물들이 많은 유통과정을 거치면서

산지가격에 비해 많은 비용을 지불해야만 맛볼 수 있게 됐다.

 그렇다면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방법이 없을까 라는 의구심을 갖고 시작한 정책이 로컬푸드다.

농수산물을 생산하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해 투명한 유통경로를 확보하고 생산자에게는 적정한 수입을 보장하고, 소비자에게는 유통단계를 줄여 저렴한 가격에 우수한 농수산물을 밥상에 올릴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게 된다.

그만큼 안전한 농산물로 건강하고 저렴한 밥상을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와 농촌 간의 불균형을 치유하는 매개체가 될 수도 있다.

 양주시는 이제 로컬푸드의 첫걸음을 떼고 걸음마를 하기 위한 준비 중이다.

 로컬푸드는 로컬푸드 직매장, 농산물 직거래장터 등의 형태로 많이 나타나고 있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우수한 농산물을 만나 볼 수 있는 로컬푸드 직매장은 지역경제의 활성화는 물론 건강과 영양, 식품에 대한 안전성, 유통경로를 줄여 에너지와 온실가스 절감, 생산자의 가격결정권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지게 된다.

 특히 로컬푸드는 맛이 더 좋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래품종은 그 지역의 기후와 풍토 그리고 그 지역 사람들의 기호에 맞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항상 싱싱한 상태로 신선한 맛을 유지하고 있다.

같은 채소라도 생산된 후 식탁에 오르는 시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영양가가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수확 후 오래 저장하면 효소의 작용이나 다른 화학작용으로 인해 품질이 떨어지고 비타민C와 같은 영양소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지역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유통경로를 만들어 줘야 한다. 제철에 우리 지역에서 나고 자란 농산물을 가까운 매장을 통해 농촌과 소비자를 직접 연결해 주는 것, 바로 그것이 로컬푸드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로컬푸드 직매장을 신설해 로컬푸드 활성화에 앞장서고 있다. 이는 위에서 나열한 장점 때문일 것이다.

 이제 첫걸음을 시작한 양주시 로컬푸드가 더욱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관공서를 비롯한 농협 등 많은 관계 기관의 도움이 절실하다. 직거래장터 혹은 로컬푸드 매장 신설은 물론 현재 우리 시에서 로컬푸드가 판매되고 있다는 홍보가 절실한 실정으로, 이를 위해 많은 기관들이 협력해야 한다.

 농촌과 도시가 하나되고, 서로에게 ‘윈윈(win-win)’할 수 있는 로컬푸드 운동에 모두 참여해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 확보와 지역 농수산물로 풍성한 밥상을 기대해 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