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개성공단 전면 중단 발표 후 일주일이 넘었으나 인천 입주기업에 대한 구체적 피해 상황은 아직도 요원하다.

17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인천시는 지난 11일 경제산업국장을 반장으로 특별대책반을 구성해 입주기업의 피해 규모를 파악하고, 단계별 비상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고 했다. 하지만 시는 아직도 구체적 피해 규모를 모르고 있다. 16개 피해기업의 협력업체 수도 아예 생각할 수 없는 상태다.

시는 ‘일대일 기업별 맞춤형 지원 제공’이란 정부 입장과 다른 행보를 하고 있는 모양새다. 그러면서 피해 현황 창구를 인천중소기업청으로 단일화했다고 얘기한다.

그러나 인천중기청은 ‘피해기업 애로사항을 발굴하고 일대일 기업 지원을 위한 창구’ 역할을 할 뿐, ‘피해 현황 단일 창구’에 대해선 시와 협의한 바 없었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개성공단에 입주한 124개 제조기업을 지원한 60여 개 협력업체(서비스 제공)의 지역 존재 여부 등 1·2차 피해 현황 파악은 아예 꿈도 못 꾸고 있다.

양 기관의 업무 ‘핑퐁’으로 실질적인 지원을 기대해 온 인천의 개성공단 피해기업과 협력업체들은 애만 태우고 있다.

최근 주영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역 피해기업을 방문해 애로사항 등을 청취했으나 시 공무원들의 ‘발품’은 찾아볼 수 없다는 게 업계의 얘기다.

여기에 피해기업들은 2013년 개성공단 전면 철수 당시 받았던 대출금을 아직도 갚지 못한 상태에서 또다시 대출을 받아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당시 시가 시중은행을 통해 낮은 금리로 제공한 자금은 137억 원이다. 14개 기업이 이 자금을 받았고 아직도 상당수 기업들이 돈을 갚고 있다.

인천신용보증재단과 중소기업진흥공단 인천지역본부도 개성공단 입주기업 특례보증(3개 사·업체당 2억∼8억 원)과 긴급경영안정자금(5개 사·2억∼3억 원)을 제공해 이 자금을 받은 기업 중 절반이 돈을 갚느라 허덕이고 있다.

 그래서 피해기업들은 금융 지원보다 저임금 인력 수급 확대와 대체 생산지 마련, 거래선 유지 방안 등 현실적인 피해 대책 마련을 간절히 바라고 있다.

개성공단 피해기업의 한 관계자는 "시가 피해기업을 발 빠르게 도와주겠다는 얘기만 하고 딴짓을 하고 있는데다, 2013년에 받은 자금도 아직 갚지 못해 자금난에 봉착한 기업들이 많다"며 "말로만 하지 말고 피해기업의 어려움을 진정으로 헤아려 주길 바랄 뿐"이라고 하소연했다.

한편, 인천중기청은 지역의 피해기업들이 요구한 대체 부지로 시흥·안산스마트허브 내 31곳의 유휴 공장 터를 확보하고 피해기업 방문 시 이곳을 대안으로 제시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종국 기자 kjk@kihoilbo.co.kr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