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성모병원 성 루까 치유센터 김지영 임상심리사.jpg
▲ 김지영 국제성모병원 성 루까 치유센터 임상심리사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외래어 중 하나인 스트레스(Stress). 스트레스의 의미가 정립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스트레스는 1936년 내분비학자인 한스 샐리에(Hans Selye)가 외부 자극에 대한 쥐의 생리적 변화를 발견한 연구 결과로 처음 발표됐다. 이후 우리들의 일상 속에서 점차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단어가 돼 스트레스와 다양한 질병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셀 수 없이 쏟아져 나왔다.

 세계적인 석학 로버트 새폴스키(Robert M.Sapolsky)박사는 최근 스트레스가 뇌의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해마의 신경세포를 파괴한다는 연구 결과까지 발표했다. 이에 스트레스는 우리 몸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려운 연구들을 예로 들지 않더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몸을 상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는지를 우리는 본능적으로 알고 있다. 그럼에도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대처나 관리를 잘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한국이 OECD 국가 중 압도적인 자살률을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단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 외에도 아동학대를 비롯한 최근의 다양한 끔찍한 사건·사고들을 보면 한국인의 심리건강이 상당히 취약해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염려스럽다.

 그렇다면 스트레스는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좋은가? 시중에는 이미 많은 양의 스트레스 관리법들이 넘쳐나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 관리를 포함한 건강관리에서 적당한 운동, 적정 수면, 단백질과 채소가 풍부한 규칙적인 식사, 음주·흡연 금지 등이 매우 좋고 중요하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도 거의 없다.

 그러나 이러한 기본적인 생활 습관을 꼬박꼬박 매일 지키고 산다는 사람을 찾아보기는 힘들 것이다. 물론 자신이 게을러서, 의지가 박약해서 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당장 밖으로 나가 나무와 꽃들을 보며 즐기는 단 몇 분 만의 산책으로도 스트레스가 완화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당장 좋아하는 사람에게 전화를 걸어 안부와 관심을 표현하거나 마음을 담은 편지를 쓰는 것만으로도 마음속이 평온하고 따뜻해지는 것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개인의 의지력이나 태도만으로는 부족하다. 아이들은 경쟁에 내몰리고, 청년은 취업 문제로 버겁고, 치솟는 물가와 주거비 상승, 고용 불안정, 노년 빈곤, 각종 강력사건 등은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있다. 삶에 위협을 주는 사건들의 상당 부분은 이렇게 사회구조적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인식을 갖고 사회구조적인 문제에 진지한 관심을 기울이고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평범한 사람이라도 타인의 불행과 아픔을 접하면서 자신 혼자 평온하고 행복한 일상을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나의 행복에만 집중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웃의 행복에도 관심을 기울임으로써 결과적으로 나의 행복을 유지하고, 나의 스트레스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스트레스 없는 평안한 삶을 위해 우리 모두 함께 노력해야 하는 이유이다.

<도움말=국제성모병원 성 루까 치유센터 김지영 임상심리사>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