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경운 교수.jpg
▲ 정경운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우울증은 신경정신과적으로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일상의 삶에 대해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절망감을 느끼게 되는 증상을 말한다. 이는 인구의 15%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일생에 한 번은 걸릴 정도로 흔하고, 특히 심한 경쟁과 학업 스트레스 속에서 성장하는 아동과 청소년도 예외는 아니다.

 우울증은 아주 어린 연령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특히 청소년 중기에서 후기에 주요 우울장애의 증상이 흔히 나타난다. 또한 발병 연령이 빠를수록 가장 심한 형태와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빠르게 발견하고 적극적인 관심과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소아청소년 우울증은 일반적인 우울증의 증상뿐 아니라 두통·복통과 같은 신체증상이나 주의력 결핍·부산함·학업능력 저하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또 등교 거부나 부모에 대한 지나친 집착 등의 다양한 양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나이에 따라 나타나는 모습이 다를 수 있는데 아주 어린 아이의 경우 평소와 달리 부산스럽고 밤에 소변을 지리는 야뇨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학령기 아동에서는 공부와 태도에 문제가 없던 아이가 이유 없이 지각·조퇴·결석을 반복적으로 하거나 성적이 떨어지기도 하며, 사소한 일에 과도하게 짜증을 내거나 예민해 지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 전 연령대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모습으로는 늘 기분이 좋지 않고 잠을 이루지 못하거나 자다 깨는 경우가 많다.

 또한 친구를 사귀기 싫어하고 평소 좋아하던 일에 취미를 잃게 되거나 모든 일을 귀찮아하며 의욕이 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죽고 싶다고 말하거나 실제로 자살시도를 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사춘기 자살 원인 중 우울증이 있는 경우가 많기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아이의 우울증을 알아채기 위해서는 아이의 행동에 어떤 마음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성적이 갑자기 떨어지거나,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않거나, 반항적인 모습 등을 보인다면 부모나 주변 사람들은 나무랄 것이 아니라 우선 아이의 심리적 안정에 주력을 다해야 한다.

 특히 대화를 할 때는 조심스러운 관찰을 통해 아이의 기분 상태를 공감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아이들은 기분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잘 모르기에 단편적이고 비논리적으로 표현한다. 그렇기에 대화를 할 때는 크게 레이더망을 펼치고 퍼즐을 하나하나 담아 전체 그림을 파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대화를 통해 주변의 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증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파악하고 조율을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아이가 통상적인 일상생활이 어렵거나 특히 자살에 대한 생각을 표현하는 경우 반드시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아이의 우울증을 빨리 발견하고 치료한다면 우울증의 만성화를 막고 아이의 마음과 학교·가정 생활을 회복할 수 있다. 무엇보다 가정 내에서 평소 자녀의 심리상태에 관심을 기울이고 행동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평소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대화의 장을 열어두는 것이 중요하다.

 〈도움말=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경운 교수〉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