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사막화의 속도는 매년 여의도 면적의 2배 이상 늘려 가고 있다. 유엔사막화방지총회(UNCCD)는 사막화를 막는 가장 좋은 대안은 나무를 심는 일이며, 사막화 속도보다 빨리 나무를 심으면 언젠가는 사막화를 저지시킬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것을 권하고 있다. 물론 기후변화의 속도를 멈추거나 늦추는 일도 병행돼야 한다는 전제가 깔려 있는 말이다.  

정세국.jpg
▲ 정세국<몽골‘인천희망의숲’조성 추진위원회 실행위원장>
우리가 몽골에 나무를 심는 이유는 언제부턴가 수시로 찾아오는 반갑지 않는 불청객인 황사가 직접적으로 날아오기 때문이기도 하다. 황사는 국경을 넘어오면서 중국 산업 현장의 오염된 금속화합물을 흡수해 각종 질병의 원인을 일부 제공하고 있다는 인하대병원 산업의학과의 발표를 유념해야 한다. 고

비나 타클라마칸 사막에서 발생하는 황사를 막기 위해서는 몽골과 북중국에서도 조림해야 한다. 실제로 중국은 이미 30여 년 전부터 국제적인 기금을 활용해 조림지를 넓혀 가고 있다. 80만 그루를 심은 인위쩐 부부와 같은 인민영웅들의 헌신이 우리나라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이에 비해 몽골은 아주 취약하며, 정부의 의지뿐만 아니라 300만 명 국민 중 환경에 대한 의식을 갖고 사막화를 막고자 하는 사람이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사막화 방지를 빙자한 이벤트성 조림사업은 지속적 추진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 현지에서도 문제이지만 추진하는 주체의 모금이나 홍보활동에 어려움을 갖도록 한다. 몽골 지역의 자연과 환경에 대한 사전조사 없이 막연하게 조림했다가 흔적만 남아 있는 현장이 여러 군데 있다. 일본의 모 단체와 기업에서 심어 놓은 벽돌 울타리의 근사한 조림지는 관리가 되지 않아 고사한 상태를 보여 주고 있다.

몇십 그루의 작은 공간을 차지하는 이런 지역은 차라리 애교스럽기까지 하다. 대규모 사업을 한다고 판을 크게 벌여놓고는 2~3년 만에 철수해 버린 곳도 여럿이다. 국내 단체나 기업에서도 이와 유사한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몽골 정부, 지자체, 지역주민에 대한 제대로 된 파악 없이 시도했다가 유목 주민의 반대로 인해 막을 내린 지역도 있다. 조림주체가 수종, 토양, 기후, 주민의 의식, 사전 협의 등을 거치지 않고 막연히 설정된 상황 하에서는 성공적인 조림에 한계를 가진다. 일시적인 지원만으로 조림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판단하기에는 사막 면적이 너무 넓다. 남들이 하니까 따라 하는 어리석음도 마찬가지 결론에 이를 수 있다.

 그렇다고 마냥 지속적으로 퍼부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을 가져야 한다. 이미 2008년부터 3년간 시민 모금에 의한 조림사업에 뒤이어 인천시는 시민의 예산 투입을 위해 사전에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 했다.

푸른아시아라는 국제 NGO단체와도 충분한 논의와 과학적인 접근을 병행했어야 하는 아쉬움이 있다. 초기에 무작정 시작함으로써 동기를 유발시키는 효과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제는 체계적인 논리와 조직을 확보해야 할 때다. 조직적인 체계를 갖추고 동시에 어떤 방향에서 어느 정도의 시도를 계속할 것인가에 대한 얼개가 공유되도록 검토해야 한다. 적어도 5년간의 중기계획을 가지고 지금의 상황과 이를 이어갈 방향에 대해 시민들에게 알리고 협조를 구하는 게 좋겠다. 그래야 거버넌스 차원에서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신뢰를 안겨다줄 것이고, 국제시민의식도 확산될 것이다.

 수원시는 2011년 시작단계부터 ‘몽골휴먼사업단’을 발족해 사업계획에서 실행까지를 전담하며 사업의 타당성 조사부터 기술적 지원과 실질적인 대안 수립이 되도록 전문가나 먼저 경험하고 있는 단체 등으로부터 자문을 구하고 있다. 서울시는 작년 말 조례를 제정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몽골에 조림을 시작한다. 인천은 지금이라도 중기계획을 확보하고 조직과 제도적인 뒷받침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인천시의 조례 제정과 과학적인 뒷받침은 늦어졌으나 지금까지의 경험을 바탕으로 해 더 명쾌한 길을 제시함으로써 ‘인천희망의 숲’이 몽골뿐만 아니라 미얀마 등의 동남아와 북한까지도 이어가는 지속가능발전 운동의 줄기가 될 것을 기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