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학 인천 푸른꿈비전스쿨 교장.jpg
▲ 최정학 인천 푸른꿈비전스쿨 교장/
5월 29일은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지 1년이 되는 날이다. 지난해 여성가족부(이하 여가부)는 이 법률과 시행령에 근거해 ‘학교 밖 청소년’들을 발굴하고, 이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꿈드림센터’를 전국 시군구에 200개소를 지정했다.

 또한 범부처 합동으로 ‘학교 밖 청소년 발굴 및 지원대책’을 마련하는 등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을 위한 사업들을 전개해 나갔다. 이에 따라 인천의 각 지자체들도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조례’를 통과시키며 ‘꿈드림센터(이하 센터)’를 중심으로 사업들을 가시화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들은 ‘위기 청소년’들을 돌봐 왔던 전문가들이나 활동가들에게 희소식이 아닐 수 없었다. 제도와 정책의 지원 없이도 묵묵히 그들을 위해 헌신했던 사람들에게 이 법의 시행과 센터의 설립 소식은 전깃불도 들어오지 않는 산간마을에 신작로가 뚫리고 버스가 들어온다는 소식만큼이나 반가운 것이었다. ‘학교 밖 청소년’들과 삶을 함께 하고 있던 사람들의 절실한 목마름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 협조’였기 때문이다.

그도 그럴 것이 39만 명이나 되는 학교 이탈 청소년들(통계마다 다름)에게는 그 숫자만큼이나 다양한 교육적 필요가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여가부는 올해 1월 "총 3만6천여 명의 ‘학교 밖 청소년’의 정보가 학교, 경찰, 법원 등 유관기관으로부터 센터에 연계되고, 그 중 3만4천여 명의 청소년이 상담, 학업·취업 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았다"며 2015년의 성과를 밝혔다.

또한 "총 4천948명이 검정고시 취득, 상급학교 진학 등 학업에 복귀하고 4천2명이 직업훈련 참여, 자격증 취득, 취업 등에 성공하는 등 모두 8천527명의 학교 밖 청소년이 자립 역량을 갖추는 성과를 보였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잇따라 발생한 아동 폭력·살인사건 등으로 피해를 당한 아이들은 수년간 장기 결석 상황에서도 센터의 관리 대상에 아예 이름조차 올리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의 성과를 홍보하는 데 열을 올리던 여가부는 고개를 숙였다.

한 언론보도에서 여가부 관계자는 "센터들이 길거리에서 지원·보호 대상 학교 밖 청소년을 찾고 있는 실정"이라며, 소재 파악이 얼마나 어려운지 현실의 고충을 토로하기도 했다.

 센터 관계자들의 노고와 고충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아쉬운 것은 센터들이 다양한 홈스쿨지원센터나 홈스쿨네트워크, 미인가 대안학교나 대안교육시설, 기타 여러 위기청소년 전문기관들과 충분한 연대와 협력망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학교 밖 아이들’과 함께 해 왔던 현장에 있는 많은 사람들은 센터 관계자들을 만나 보지 못했다고 입을 모은다. 인천뿐 아니라 전국적 현상인 것 같다. 누구와 연대하고, 누구와 머리를 맞대고 있는지 모르겠다는 것이다.

 센터들은 현재 ‘학교 밖 청소년’들을 위해 다양한 진학·진로·상담 등을 진행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펼치려 하고 있다. 일단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이러한 센터들의 활동을 보면서 전문가들이 우려하는 것은 "센터가 또 하나의 대안학교를 만들어 가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또 하나의 청소년문화센터를 만들어 가고 있는 것 같다"는 우려도 있다. 센터가 검정고시 전문기관이나 직업연수기관처럼 인식될까봐 걱정스럽기도 하다.

 그 많다던 ‘학교 밖 아이들’은 어디 있을까? 이 많은 ‘학교 밖 아이들’은 왜 늘어나고 있을까? 우리 고장 ‘학교 밖 아이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교육적·철학적·문화적·사회적·정책적 대안을 내놓는 두뇌가 ‘꿈드림센터’여야 한다. ‘학교 밖 아이들’을 위해 풀뿌리처럼 노력해 왔던 대안학교나 청소년기관들의 일을 중복해서 하기보다는 전문가를 양성하고 훈련하며, 다양한 실천단위들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네트워크의 심장이어야 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