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기.jpg
▲ 김민기 ㈔인천언론인클럽 명예회장
국토교통부가 계획 중인 국립철도박물관 유치를 위해 전국 11개 시도에서 유치전이 치열한데 정작 철도역사의 기득권이 있는 인천은 시도조차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철도 역사가 시작된 곳은 말할 나위 없는 인천이다.

 110년 전 인천을 출발한 철도가 한반도 전역을 달리기 시작했고, 유라시아 철도시대를 연 선조들이 피땀 흘려 이룩한 인천 철도역사 앞에 부끄럽다.

 인천의 철도 역사는 1885년부터 시작된다. 침략 야욕을 드러낸 일본이 조선 철도에 관심을 보이면서 1894년 조선과 일본은 경인선 건설의 가설규정을 조인했다. 그러다 1895년 조선 정부가 미국인 모오스에게 철도 부설권을 부여했고, 1897년 인천 우각리(도원고개)에서 조선인 인부 350명과 기공식을 갖게 된다. 최초의 계획노선은 인천 남쪽을 통과해 시가로 들어가는 당시의 탁보(현 신포동) 세관청사 부근에 역을 만드는 것이었으나 일본인 지주와 협상이 안 돼 전환국과 응봉산 뒤를 우회해 현재의 인천역으로 연결되는 노선으로 변경됐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철도는 1899년 인천역에서 개통식을 하고 인천과 노량진 간의 임시 운행이 시작된다. 이것이 우리나라 철도운수사업의 효시다.

 1년 뒤 한강철도가 준공돼 인천과 서대문 간에 이르는 광궤선이 모두 개통하게 된다. 개통 당시 운행된 증기기관차는 1일 4회로 편성됐고, 정차장은 인천, 축현, 우각동, 부평, 소사, 오류동, 노량진, 용산, 남대문, 서대문 등이다. 이로써 1905년 준공된 인천역사는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역사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국토부가 2014년 관련 기본용역을 시작해 이듬해 사전 타당성조사와 최적 후보지 선정 용역을 진행 중이다. 국립철도박물관 유치에 기준이 되는 ▶접근성과 연계성 ▶철도상징성 ▶사업 추진 용이성 ▶지자체의 적극성 ▶지역문화의 균형발전 등의 대부분이 인천이다.

 현재 국립철도박물관 유치를 신청한 전국 지자체는 전북 군산, 부산, 울산, 경남 창원, 경북 포항, 강원 원주, 경기 의왕, 충북 청주, 대전, 세종, 전남 나주 등 11곳이다. 이들 지역은 지역주민이 하나돼 유치위원회를 구성하고 대대적인 서명운동에 나섰고, 지역 정치계도 합세해 유치에 적극적이다.

 원주는 중앙선 철도시설인 현 원주역사를 후보지로, 포항은 포항역사가 1945년 준공 후 원형이 보존됐다는 장점을, 부산은 미국 잉여재산처리장 부지를, 창원시는 KTX 고속열차와 철도 제작수출업체가 있다며 장점을 부각하고 있다. 군산은 옛 임피역과 철도의 호남 관문을 앞세우고, 의왕은 주변 철도시설 연계 등을 철도상징성으로 집중 부각시키고 있다. 하지만 철도가 시작된 인천만큼의 역사적 사실을 뛰어넘을 수는 없다. 그런데 인천은 엄연한 철도역사성을 포기했다. 전국이 국립철도박물관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는데 정작 철도역사의 기득권이 있는 인천은 유치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

 1천억 원의 전액 국비가 투자되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5만여㎡에 2만여㎡의 박물관을 짓는다. 이곳에 철도업체 체험영상관, 철도역사 문화전시관, 철도산업 과학기술관, 어린이 철도테마파크 등이 들어선다.

 이 같은 후손에게 인천의 자긍심과 역사성을 부여케 할 대형 사업을 유치 시도조차 하지 않은 인천은 스스로의 가치를 부정했고, 한국 철도 효시란 역사의 기득권도 타 지역에 빼앗기는 수모를 겪고 있다.

 지역 사학계와 문화계 인사들은 "철도역사에 인천을 빼면 첫 장을 열 수 없는데 내 것을 멀쩡히 빼앗기는 것을 보고 있는 인천시 공무원들은 진정 주인의식이 있느냐"고 묻고 있다. 가치 창조를 내세운 민선6기 인천시의 헛구호의 단면을 보고 있는 듯하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