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석승.jpg
▲ 강석승 동북아교육문화진흥원장
제7차 당대회가 끝난 지 1개월이 훨씬 지나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 주민들의 생활은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은 채 ‘200일전투’라는 또 다른 강제 노력 동원이 이들의 머리와 가슴을 짓누르고 있다.

바로 이런 상황에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조치가 하나씩 가시화되면서 맹방(盟邦)인 중국마저도 등을 돌리는 가운데 인민들 사이에서는 지금의 이 핍박한 현실이 저 멀리 신라나 고려, 조선조 시대 때 백성들을 억압하고 착취한 왕조(王朝)에 항거해 일어났던 역사상 민중봉기를 불러왔던 것처럼 주민들로 하여금 반(反)김정은, 반(反)체제 움직임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도 그럴 것이 집권 5년 차에 접어든 김가왕조의 제3대 절대권력 세습자인 김정은은 육성연설을 통해 "이제 두 번 다시는 인민들이 허리띠를 졸라매지 않도록 하겠다"고 공언(公言)했으면서도, 지금까지 이렇다 할 인민생활의 개선이나 향상을 위한 정책은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우리는 민족 역사상 일어났던 인민들의 봉기(蜂起)나 항거(抗拒)가 북한 땅에서도 멀지 않아 일어날 개연성이 매우 커지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들 수 있는 것이 경상북도 상주를 거점으로 해 조직적인 민란을 일으킨 ‘원종과 애노’라는 농민의 봉기다.

 이는 북원의 양길, 죽주의 기훤, 완산의 견훤 등으로 잇따라 확산돼 신라의 붕괴를 촉진시킨 원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고려시대의 대표적 인민봉기인 ‘망이·망소이의 난’과 ‘만적의 난’ 등 역시 북한에 미치는 함의(含意)는 결코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망이·망소이의 난’은 1176년 충남 공주의 명학소에서 노동을 하던 종속구역민인 ‘망이·망소이’ 형제가 주동해 일으킨 봉기로, 비록 실패했지만 1182년 ‘전주 관노들의 난’으로 이어지는 등 단순히 먹고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천민 신분’에서 벗어나고자 한 신분해방운동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 오늘날 ‘출신성분이나 토대’를 중심으로 해 인민들을 억압·착취하고 있는 북한의 현실에 좋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만적의 난’은 이로부터 22년 후인 1198년 고려의 무신집권기에 당시 실세였던 ‘최충헌’의 노비인 ‘만적’이 중심이 돼 일으켰던 "온갖 부귀영화를 누리는 왕후장상(王侯將相)이 본래 씨가 있는 것이 아니고, 때가 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을 부각시켰으나, 이 역시 불발로 끝났다.

 조선시대에도 ‘임꺽정의 난’과 ‘홍경래의 난’, ‘진주민란’ 등이 일어났는데 이 중 지금으로부터 400여 년 전인 조선조 명종시기 ‘백정 출신’으로 알려진 임꺽정은 자신의 뜻을 따르는 백성들과 함께 황해도의 구월산과 경기도 일대에서 백성들을 못살게 구는 탐관오리들을 죽이고 그 재물을 빼앗아 빈민들에 나눠 주는, 이른바 ‘의적활동’을 했던 인물이다.

이 난도 실패로 끝났지만, 16세기 중반 몰락한 농민과 백정·천민들을 규합해 지배층의 수탈정치에 저항한 항거라는 점에서 홍길동·장길산 등과 함께 ‘조선시대의 3대 의적’으로 널리 회자되고 있다.

 ‘홍경래의 난’은 1811년 비록 평민 출신이지만 ‘평양향시’를 통과한 홍경래가 상인이었던 ‘우군칙’ 등과 함께 평안도 안주 등지에서 일으킨 농민항쟁으로 정부군의 진압으로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조선왕조체제를 무너뜨리는 단초로 작용했다.

 특히 홍경래는 죽은 뒤에도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백성들의 의식 속에서는 ‘여전히 살아있는 존재’로 각인돼 영원한 전설로 남아 있는 인물이다.

 ‘진주민란’은 1862년 경상남도 진주에서 일어난 농민들의 반관숙정운동으로, 그 직접적인 동기는 경상도 우병사였던 ‘백낙신’의 불법적인 농민 수탈 때문이었다. 이 민란은 당시 진주에서 서남쪽으로 30리(11㎞) 정도 떨어진 유곡동에 사는 ‘유계춘’ 등이 주도해 일으킨 항쟁으로 3개월여에 걸쳐 계속됐다. 다른 지방의 농민들을 자극해 이 해에만 전국에 걸쳐 30여 개 지역에서 농민들의 봉기가 일어났다.

 결국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일어났던 수많은 인민봉기는 이런저런 명분과 구실을 붙여 인민들을 수탈하고 신분을 차별하는 가운데 장기 독재, 그것도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대변되는 ‘김가왕조’의 폭압적·반인민적인 독재정치의 종말을 예고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