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옥엽.jpg
▲ 강옥엽 인천시 역사자료관 전문위원
현재 인천은 새로운 도약을 위해 인천을 재발견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그 가운데 각 군·구 구명(區名) 변경의 문제가 대두됐다. 인천은 광복 후 1949년 8월 15일 지방자치법의 시행에 따라 인천부에서 인천시로 바뀌었고 1968년에 그동안 시행되던 출장소 제도가 폐지되면서 중구, 동구, 남구, 북구의 4개 구를 설치한 구제(區制)를 실시했다. 오늘날 남아 있는 중구, 동구, 남구의 구명(區名)은 이때 만들어진 것인데 당시 전국적으로 이러한 방위 개념의 명칭들이 사용됐다. 50여 년이 지난 지금, 이들은 도시 구성과는 전혀 엉뚱한 방향을 가리키는 방위명(方位名)으로 남게 됐다.

 최근 남구와 동구의 경우 구명 변경의 입장을 천명했다. 특히, 인천 역사의 발상지 남구(南區)는 구명 개정이 오랜 숙원 사업으로 그간 문제 제기는 있었지만, 이에 따른 재정 부담과 행정적 혼란 등으로 단독으로 추진하기에는 부담이 됐던 사안이다. 반면, 지금은 시와 동구, 서구 등이 동참해서 지역의 정체성에 맞는 구명(區名)을 찾자는 운동을 함께 전개하는 새로운 상황이 도래했다. 남구 구명(區名)의 문제점은 현재 인천 도시발전 방향과 다른 방위로 인해 혼란을 초래한다는 점, 그리고 방위를 주로 사용하는 일본식 행정 명칭을 원용했다는 오해의 소지도 있고, 무엇보다 남구 지역이 갖는 오랜 역사성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어느 나라 어느 도시든 각기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사람에게 이름이 있는 것과 같이 땅에는 지명(地名)이 있다. 지명은 인간들의 정착지에 대한 공동적 땅 이름이면서 한 장소를 다른 장소와 구별할 때 사용하는 공통의 부호이다. 또, 그곳에 사는 후손들에 의해 면면히 이어지기 때문에 개개의 지명은 나름대로 ‘지명사’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지명 속에는 우리 조상의 사고와 의지가 담겨진 것도 있고, 생활 모습을 나타내는 지명도 있어서 우리 문화 발전의 역사를 찾아 볼 수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그간 남구와 동구는 바로 이러한 무형의 문화유산을 구명(區名)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최근 타 지방자치단체들도 지역 발전과 변화의 노력으로 지역의 특성이나 역사성을 담은 행정 명칭의 개칭을 시도하고 있다. 예를 들면, 경북 울진군은 금강송 군락지로 유명한 ‘서면’을 금강송면’으로, 고령군은 대가야의 도읍이었던 ‘고령읍’을 ‘대가야읍’으로, 영월군 하동면은 조선시대 풍류시인 김삿갓(金柄淵) 묘역 및 유적지가 있어 김삿갓면으로 변경했다. 경기도 광주시는 중부면을 남한산성면으로 변경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 있는 지역 특성을 반영했다. 이제 지역을 브랜드화하는 것이 시대의 대세가 됐다.

 그런데, 남구의 경우 최근 주민들의 여론조사에서 찬성이 38.7%, 반대가 54,5%라는 의외의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남구의 역사성을 고려할 때 구명 변경에 대한 염원이 당연히 클 것이라는 일반론의 재고(再考)가 요청되고 있다.

 결과를 두고 볼 때, 그동안 진행된 과정들에 반성과 보강이 요구된다. 기왕에 진행된 1차 여론 조사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뒤따라야 한다. 무엇보다 구명 개정의 당사자인 구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보다 적극적으로 마련했어야 했다. 인천 역사에서 남구지역의 위상과 의미를 구민들에게 널리 홍보하는 장(場)을 마련해야 하고, 역사적 연원을 가진 구명의 타 지역과의 차별성 및 브랜드 개발을 병행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 여기에 남동구와 연수구의 모태가 됐던 남구가 이제 또 다른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보다 열린 시각이 요구된다.

 인천 역사의 출발지, ‘인천’ 지명의 탄생지, 남구가 역사고도(歷史古都)임을 다시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 역사고도의 중심에 남구가 자리하고 있다는 사실은 남구민과 후손들에게 큰 자부심의 원천이 될 것이다. 구명(區名) 개정의 계기를 통해 남구의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기를 기대한다.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KIHOILBO

저작권자 © 기호일보 - 아침을 여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